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코어 운동이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e Exercise on Health Fitness in Unstable Support
- 손영훈(Young-Hun Son) 엄희승(Hui-Seung Eom) 이민희(Min-Hee Lee)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운동재활·복지
- 제2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12
- 1 - 10 (10 pages)
이 연구는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코어운동이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는 H대학의 성인 남녀 22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4일에 연구를 시작하여 동년 동월 22일까지 3주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안정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으로 나누어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11명으로 구성하였다. SPSS/Window(12.0 ver.)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와 대응 t-검정을 통해 사전과 사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두 그룹 모두에서 근지구력과 유연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심폐지구력은 실험집단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또한 그룹 간 비교를 통해 근지력과 심폐지구력에서 유의차를 확실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코어 운동이 보다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re motion on flexibility, muscle endurance,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on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Methods: The research period o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ree weeks from November 4, 2019 to November 22, 2019. The participants included 22 adult men and women attending H University in Jeollanam-do.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a group of unstable support surfaces and a group of stable support surfaces, with 11 persons each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ubjects of each county conducted the experiment after fully explaining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before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Muscular endurance increased after exercise in both control experimental groups, resulting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2. Flexibility increased after exercise in both control experimental groups, resulting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Cardiopulmonary enduranc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4. Both counties showed improved health fitness after core exercises and higher core movement on stable support surfaces. Conclusion: When performing core exercises, it is thought that exercise on unstable ground level will be more effective. It is thought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effects of core motion on health fitness in the future, taking into account people of various ag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