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498.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신라 신문왕대 달구벌 移都의 추진과 兩京制

The operation of Dual Capital system(兩京制) and The promotion of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Dalgubeol(達句伐) in the reign of king Shinmun of Silla dynasty

  • 33

신라는 삼국 통일 이후 신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도읍을 옮기고자 하였는데, 신문왕대 달구벌 이도(移都)가 그것이다. 달구벌 이도는 신문왕이 진골귀족의 본거지인 경주를 벗어나려던 정책인 동시에 당제(唐制)에 근거한 통치체제로의 정비가 목적이었다. 여기에는 삼국 통일 무렵 형성된 동아시아의 시대적 흐름이 정책의 그 바탕에 위치하고 있었다. 唐의 양경(兩京) 설치와 日本의 복도(複都) 운영이 그에 해당한다. 달구벌은 정치, 경제, 군사, 지리적인 면에서 위치가 뛰어났으며, 김씨 집단의 연고지로서 상징성을 지닌 곳이었다. 신라는 고대 한・중・일 동아시아 도성제의 정비와 운영이라는 흐름 속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며, 교류의 매개자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This thesis is a review of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in the reign of king Shinmun of Silla dynasty. Silla tried to move the capital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order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cluding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Dalgubeol(達句伐). The purpose of King Shinmun s policy was to leave Gyeongju(慶州), the home of the Jingol(眞骨) aristocrats,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Here, the trend of East Asia, which was formed aroun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as located on the basis of policy. These include the installation of dual Capital in Tang(唐) dynasty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Dalgubeol(達句伐) area was excellent in political, economic, military, and geographical aspects, and was a place with symbolism as the hometown of the Kim s(金氏) noble group. Silla existed normally in the trend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the ancient East Asian capital city system in Korea, China and Japan.

Ⅰ. 머리말

Ⅱ. 문무왕대 체제 정비와 羅城의 축성

Ⅲ. 唐의 東都 설치와 日本의 複都 조영

Ⅳ. 신문왕대 달구벌 移都의 진행과 兩京의 설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