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499.jpg
학술저널

문화재로 본 임진왜란 참전 명군(明軍) 비(碑) 고찰

A Review of the Ming Dynasty Military Monument who Participated in the Imjin War as a Cultural Heritage

  • 17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명나라는 대규모 원병을 조선에 파견했다. 전쟁 중 많을 때는 약 10만 명의 명군이 조선에 주둔했는데, 대부분은 1598년 전쟁이 끝나고도 명군의 조선주둔은 계속되었다. 명군은 1600년(선조 33) 9월 명나라로 귀환했다. 임진왜란 참전 명군과 관련된 곳에 제단, 사당, 명군의 공덕비가 세워졌다. 특히 공덕비는 전란 직후 명군 스스로 전승기념 성격을 띠었다. 이러한 기념물은 일제강점기에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군 관련 유적들을 파괴하거나 파괴할 대상물로 삼았다. 그 중 몇몇 비석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본 글에서는 기왕의 연구와 더불어 더 체계적으로 명나라 장수의 비 실체를 파악하고자 한다. 비의 형태, 비를 세운 시기와 주체, 비문의 내용, 비가 수록된 조선시대의 사료, 일제강점기 철거될 비 현황 등을 파악하여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When the Imjin War broke out in 1592, the Ming Dynasty dispatched large-scale soldiers to Joseon. During the war, about 100,000 Ming Dynasty soldiers troops were stationed in Joseon, most of which continued to be stationed in Joseon even after the war ended in 1598. Ming Dynasty soldiers returned to the Ming Dynasty in September 1600. Altars, shrines, and memorial stones of Ming Dynasty soldiers were erected in places related to the veterans of the Imjin War. In particular, Gongdeokbi Monument took on the character of commemorating the transmission of Ming Dynasty soldiers himself shortly after the war. These monuments were targeted to destroy or destroy the remains of Ming Dynasty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Imjin War in Japanese colonial era. Some of the monuments wer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to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attempts to more systematically grasp the non-realities of the Ming Dynasty s longev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ument were summarized by grasping the form of the monument, the time and subject of the monument, the contents of the epitaph,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ing the monument, and the status of the monument to be demolished Japanese colonial era.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건립된 명군의 사당

Ⅲ. 임진왜란 참전 명군 관련 비와 특징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