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516.jpg
KCI등재 학술저널

쓰기 부진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문항 구성 요인 탐색

Exploring the Components of Questions to Develop a Diagnostic Tool for Writing Underachievement

  • 8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쓰기 부진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처방을 내리기 위한 적절한 검사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에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쓰기 부진 진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탐색 연구를 통해 검사 도구 구성 요인을 선정하고 문항 구성의 원리를 마련한 뒤 문항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는 절차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이에 연구의 결과, 우선 쓰기 부진 검사 도구 구성 요인으로는 내용의 적절성, 분량의 충분성, 조직의 적절성, 표현의 적합성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검사 문항을 구성할 때에는 ‘학생의 흥미를 고려할 것, 특별한 배경지식을 요구하지 말 것, 완결된 긴 글 수준의 과제를 요구하지 말 것’이라는 문항 구성의 원리를 마련하였다. 이후 구체적인 검사 도구를 제작하기 위해 문항 유형을 ‘문장 수정’ 유형과 ‘문장 구성’ 유형으로 나눈 뒤, 문종별 쓰기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종별 쓰기 과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능력 요소를 추출하여 선정하였고, 문항 제작 시 분량에 차등을 두고 흥미로운 소재를 선택함으로써 학습자가 쓰기 활동에 인지적 부담이나 정서적 거부감을 최대한 느끼지 않도록 고려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쓰기 부진 검사 도구를 통해 앞으로 학생 쓰기 부진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쓰기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re is no appropriate test tool for diagnosing poor writing in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cribing remedial actions. Methods: In this study exploratory research was utilized to develop a diagnostic test tool for poor writing, a testing tool component was selected, question composition was prepared, and a specific example of the question composition was presented. Results: The following represent the research findings: fir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the sufficiency of the amount, the appropriatenes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suitability of expression were selected as components of the poor writing test tool. Based on this, the principle of constructing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saying, “Considering the student s interest, not requiring special background knowledge, and not requiring a completed long text-level task.” Afterwards, in order to produce a specific inspection tool, the question types were divided into a ‘sentence modification’ type and a ‘sentence composition’ type, and then a writing task for each type of sentence was presented. Writing tasks by type were selected by extracting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elements dealt with in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by selecting interesting materials with differences in quantity when producing questions, so that learners did not feel cognitive or emotional rejectio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writing sluggishness test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pecifically diagnose student writing sluggishness and that the results of the usage will be drawn upon as writing education data in the future.

Ⅰ. 들어가는 말

Ⅱ. 검사 도구 구성 요인의 선정

Ⅲ. 검사 문항 구성 원리 및 검사 문항 개발의 실제

Ⅳ. 검사 도구 적용 방안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