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mistakes’ by inductively grasping and understanding the phenomena through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mistakes’ is to provide data. It is based on the questions generated through the first round of interviews, we conducted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of 38 professional poomsae players to collect opinions of more players. It is based on the extracted data were materialized through in - depth interviews with the players ag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is paradigm.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mistakes’ perceived by the poomsae players are not the ‘wrong’ actions or techniques but the parts that can be deducted from the rules of the game and where the points can be deducted. Second, ‘mistakes’ affecting the results of the poomsae players were found to be due to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the athletes, except for external factors such as stadium environment. Third, there are at the strategic handle of the poomsae players focal phenomenon, it was a way to solve them alone without help from ot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태권도장 폭력에 대한 성찰과 대안
- 중학교 태권도선수의 스트레스가 번아웃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언택트 코로나 시대의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3권 1호 목차
- 품새에 나타난 기술적 접근으로의 태권도 정신
- 태권도 품새선수의 ‘실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中国大众跆拳道现状与2021年东京奥运会后的发展方向
- 중국 학부모의 태권도장 선택요인이 교육만족 및 교육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엘리트 태권도지도자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프리젠티즘의 관계
- 청소년 태권도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선수들의 번아웃 및 스포츠 도덕행동의 관계
- 2019춘천코리아오픈 국제태권도대회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몰입경험, 참여만족간의 관계
- 태권도 수련이 비만아동의 신체조성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