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592.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 월성 서성벽의 축조 공정과 인신공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Western Rampart of Wolseong and the Evidence of Human Sacrifice

  • 229

월성은 신라 마립간기에 축조된 거대한 토목 구조물로서, 신라 멸망 때까지 왕성으로 기능하여 정치·행정 중심지로 존속되었다. 최근, 월성 발굴조사는 그동안 미진했던 월성 성벽과 내부 궁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A지구 서성벽 조사에서 월성의 초축 연대, 축조 공정과 성벽 제의인 인신공희가 분석되었다. 본고에서는 발굴 자료의 검토, 자연과학적 분석(성토 재료, AMS 연대 분석 등)을 통해 월성 서성벽의 축성 과정과 인신공희 특징을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서성벽 조사구역은 축조 구간별로 서성벽1, 서성벽2로 구분되며, 서성벽1, 2 사이에 존재했던 서문지는 유실된 채 성벽의 중심 골조 연결부만 잔존한 상태였다. 서성벽1은 초축된 1차 성벽이 세워진 이후 시간적 격차를 두고 3차례 정도 보수, 정비되었으며, 2~4차 성벽은 보축 흔적을 통해 구분되면서 성토 재료, 보축 범위 또한 시기별로 상이성을 보여준다. 서성벽2는 인신공희를 포함한 1차 외벽을 1984~85년 시굴 트렌치와 연결하여 초축 성벽의 전반적인 양상을 확인하였다. 1차 성벽은 기저부 조성층 → 인신공희 → 중심 토루 → 4차례 성토 공정을 거쳐 완공되었다. 축조 공정별 출토 토기와 분석된 AMS 시료 연대로 볼 때, 월성 서성벽은 4세기 중엽 전후에 착수해 성벽 기초부를 조성한 후, 인신 공희를 필두로 한 체성부 성토를 4세기 후반~5세기 초라는 기간에 걸쳐 축성했던 것으로 상정된다. 서성벽 구간은 습지에 가까운 연약한 지반의 토대 위에 지정공법, 목제 구조체, 부엽공법 등을 활용해 기저부 조성하였고, 체성부에서는 외피 석축시설로 지탱한 중심 토루를 구축한 이후 점토 블록 - 볏짚 유기물질 – 사질점토 등을 사용해 여러 차례 성토하고 두꺼운 피복토로 마감하는 축조 공정을 보여준다. 인신공희는 성벽 체성부가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직전에, 후속될 서성벽2의 진행 방향을 따라 중심 토루의 가장자리 에 맞춰 배치되었다. 인신 희생(50대 남녀 인골·성년 여성 인골), 동물 훼기(대형 포유류의 늑골 선별), 토기 공헌(음용류 기종 위주)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의도적 매납이 인정되어 제의적 기획성을 갖추었다. 서성벽 인신공희에서는 최소 3구 이상의 조사 사례, 형질학적 분석을 통해 인신 희생의 선별 기준으로 다양한 연령대와 낮은 신분이 확인된다. 한편, 85년 시굴 및 90년 발굴조사에서 보고된 20구 이상의 인골과 동물뼈는 ‘흑색 재층’의 출토 정황이 기저부 조성층 마감면~1-2차 성토 사이의 층위로 판명됨으로써, 초축된 1차 성벽의 축성 과정에 존재했던 희생적 상황이 분명하며 향후 인신공희의 맥락과 비교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The fortress served as both the royal palace and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enter of Silla until the kingdom’s fall. The most recent excavation of the fortress site, including its defensive walls and inner palace, hitherto neglected by the academic world, resulted in the discovery of evidence of the earliest construction date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fortress, as well as signs of human sacrificial rites, at the western rampart in Zone The western rampart excavation site is broadly divided into two main parts, western rampart 1 and western rampart 2, and the Western Gate site situated between the two, of which only the central part of the structure remained at the time of the excavation. The excavation revealed that the earliest wall section was completed by building the foundation layer first, followed by the human sacrifice layer, the central earthwork, and the four earthen layers of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pottery found in each of the earthwork layers and the dating of the AMS specimens show that construction of the western rampart of Wolseong Fortress began in the early or middle part of the fourth century, and that its foundation layer was completed before progressing to the earthwork for the curtain wall with human sacrifice, which took place between the mid-fourth to early fifth century. The human sacrifices were placed along the edges of the central earthwork running towards western rampart 2, before starting the construction of the curtain wall. The human sacrifices (i.e. the bones of a man and a woman in their 50s and another woman) we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animal relics such as the ribs of large mammals, and pottery artifacts such as drinking vessels, suggesting they were buried at the site intentionally for a religious purpose.

I. 머리말

II. 월성 서성벽의 잔존 상태와 자료 검토

Ⅲ. 월성 서성벽 축조 공정의 시기 구분과 특징

1. 서성벽의 축조 공정과 시기 구분

2. 공정별 축조 기법과 성토 재료

IV. 월성 서성벽의 인신공희와 제의적 구성

Ⅴ. 맺음말을 대신하여: 왕성 월성의 자료적 활용 방안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