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공모 방식으로 민영화된 기업의 영업성과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Privatized through Initial Public Offering Method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4 No.1
- : KCI등재
- 2022.02
- 321 - 328 (8 pages)
실증적 증거에 따르면 국영기업 민영화는 바람직하지 않은 비용이나 희생 없이 사회적으로 막대한 이익을 가져온다. 그러나 정부를 비롯한 이해관계자들은 민영화된 기업의 성과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민영화 프로그램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던 국영기업 민영화는 2002년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02년까지 38개국에서 민영화된 202개 기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민영화된 기업의 영업 성과를 최대 10년까지 추적하고 민영화의 비용과 효익을 연구한다. 먼저, 고용은 민영화 이전에 크게 감소하고 이후에는 오히려 하향 안정적이다. 민영화된 기업들은 상장 이전과 민영화 초기에는 높은 수준의 수익성 향상이 있었으나, 더 오랜 기간이 지나서는 동종산업의 유사기업의 수익성을 따라잡는 수준이거나 동종산업의 유사기업보다 약간 성과가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효율성은 민영화 이전의 낮은 수준이 민영화 이후 10년의 기간 동안에도 이어져서 별다른 변화를 찾을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신흥시장에서 더욱 뚜렷하다. 또한 민영화기업의 수익성 향상 효과는 선진국에서 더 크게 나타나 민영화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그 국가의 제도적 측면(institutional features)의 정비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the privatization of state-owned enterprises brings enormous social benefits without undesirable costs or sacrifices. However, the government and other stakeholders are not only dissatisfi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privatized companies, but also appear to be skeptical of the privatization program itself. As a result, worldwide in the 1980s and 1990s, privatization of state-owned enterprises has not progressed much since 2002. In this paper, using data from 202 privatized companies in 37 countries from 1980 to 2002, we track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privatized companies up to 10 years and study the costs and benefits of privatization. First, employment decreases significantly before privatization and is rather stable downwards thereafter. Privatized companies had a high level of profitability improvement in the initial stage of listing, but after a longer period of time, they caught up to the performance level of similar companies in the same industry or performed slightly higher than similar companies in the same industry. However, the efficiency remains at the low level before privatization and during the period of 10 years after privatization, and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Profitability improvement following privatization was mainly seen in the sample of developed countries, and the degree of profitability improvement was not high in the case of privatization in emerging countries. Moreover, this phenomenon is more pronounced in emerging countries. In the case of emerging countries, in order for the privatization of state-owned enterprises to lead to more desirable results, the institutional features of the country need to be rearranged.
1. 서론
2. 표본과 방법론
3. 민영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4. 동종산업의 경쟁기업과의 비교
5. 경제발전 수준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6.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