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Resilience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among New graduate Nurse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4 No.1
- : KCI등재
- 2022.02
- 133 - 147 (15 pages)
본 연구는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0월 20일부터 10월 27일까지였고,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졸업 후 종합병원 입사 이후부터 1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신규간호사 총 21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ANOVA,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한 부스트래핑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독립변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종속변인인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으며(F=8.162, p<0.01), 적응 유연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를 부분 매개(partial mediating)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또한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graduate nurses in order to prepare a plan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 graduate nurses in general hospitals. The data collection was about one week from October 20 to October 27, 2019, and the participants were 219 new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fter graduating from the nursing department and entering a general hospita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program, and a bootstrapping test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was conduct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resilienc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F=8.162, p<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resilience in order to lower the job stress of new graduate nurses,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and further reduce the turnover rat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new graduate nurses’ turnover intention can be reduced by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increase resilience. Also,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quality nursing services to patients by appropriately coping with and successfully adapting to job-related stressful situation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