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재활 회원을 위한 음악치료 임상실습에서의 동기부여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Study on the Grounded Theory of Motivation in Clinical Music Therapy Practice for the Mental Rehabilitation Members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제9권 제1호
- : KCI등재
- 2012.06
- 37 - 53 (17 pages)
본 연구는 성인 정신보건센터의 성인들을 위한 임상 음악치료에서 음악적 표현 동기의 과정과 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참가자들은 27에서 53세 사이의 1년 이상 음악치료를 경험한 8명의 의도 표집된 정신보건센터 회원들이였다. 주요 범주와 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질적 분석 결과 음악치료에서 자발적 음악표현 동기는 치료사와 세션에서 사용되는 노래에 의해 결정된다. 치료사의 친화적 태도, 높은 음악적 역량, 선곡된 노래의 친숙성 그리고 선곡된 노래 가사에 대한 의미부여가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으로 작용한다. 이때 음악치료사에 대한 전문인으로서 인격적, 음악적 신뢰도 정도와 세션에서 사용된 노래의 긍정적 환기가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한다. 음악치료에서 자발적 음악 표현은 공감이라는 중재조건을 통해 현실 도피, 스트레스 해소 그리고 나눔이라는 작용을 일으키며 이것은 무드조절, 희망의 고취 그리고 집단 응집력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음악치료에서 참여 동기 유형은 3가지로 내재적 동기, 관계 의존적인 외재적 동기 그리고 회피적 동기유형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se the process and the pattern of motivation for musical expression in clinical music therapy for the adults in the mental health center. The participant were 8 adults purposive sampling who had more than one year music therapy experience in the mental health center and their age ranged from 27 to 53. A major category derived and analysed from the grounded theory method by Strauss and Corbin. The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motivation for musical expression in music therapy, which was the central phenomenon in this study, was determined by the music therapist and songs used in the sessions. The central phenomenon was caused by the therapist’s friendly attitude, high musical capacity, the familarity of the selected songs and the significancy of the lyrics of selected songs. The levels of reliability about the therapist’s personality and musical ability as a professional music therapist and the positive arousal of the songs used in sessions affected as the contextual condition. Spontaneous musical expression in music therapy brought the escape from reality, release of stress and sharing by the intervening condition ‘empathy’ and this resulted in mood regulation, the instillation of hope and group cohes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motivation in music therapy: intrinsic motivation, relationship dependent extrinsic motivation and evasive motiv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