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직업전문성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Music Therapists’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 34
161661.jpg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전체 210부의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9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미완성된 응답을 제외한 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기본 정보 10문항, 전문성 인식 27문항으로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직업전문성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는 반면, 직업전문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를 교육정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와 경력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가 전문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개인적 측면과 관련한 답변이 가장 많았다. 본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개인적 측면 외에도 조직적, 사회적 측면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과정 내에서 높은 수준의 음악치료교육이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치료사들의 전문성 인식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 방향과 전문성 관리를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usic therapists percei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fession. A total of 98 certified music therapist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or a 46.7% response rate, and 78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usic therapists show a high level of standards for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in general. Meanwhile, the respondents gave their lowest rating on the perception of their occupation as a social service addressing the needs of societ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rated the level of their professionalism as high and they tended to identify individual competenc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the length of clinical practice and level of edu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of training may contribute to a high level of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Also, lower levels of perception on social aspects of the professionalism support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Given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in enhancing the quality of care for clients and expanding the profession,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and propose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therapis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