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62.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생 대상 집단 타악기 연주 활용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The Use of Group Drumming With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DOI : 10.21187/jmhb.2017.14.1.085
  • 122

본 연구는 집단 타악기를 활용한 중재가 중학생의 학교 폭력예방에 어떠한 작용을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학교 음악 교사와 음악치료사의 협업을 통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사회정서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타악기의 일대일 짝연주, 동시적 연주, 즉흥연주 등이 사용되었다. 대상자는 대구시의 한 중학교 3학년 학생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65명 중 10명은 인터뷰, 그 외 55명은 개방형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다. 내용 분석 결과 총 492개의 의미있는 진술에서 타악연주의 신체화 반응, 정서적 작업, 집단 공동체성, 공감능력, 친구 관계, 자존감, 자기 조절과 같은 7개의 범주와 2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결과 학교 음악교사와 음악치료사의 협업을 통한 타악기의 일대일 짝연주, 동시적 연주, 즉흥연주가 대상자의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는 집단 타악기 연주를 통한 신체화 반응이 대상자의 정서를 규명하고, 대상자 자신 및 타인을 공감하게 하는 경험을 하게 한다는 논의를 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교사와 음악치료사의 협업을 통한 타악기 연주가 친사회적인 행동을 촉진하여 학교폭력예방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 therapeutic drumming intervention would impac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Participants were all in the third-year class of a middle school in Korea. A school music teacher and a music therapist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gram collaboratively, and mainly used dyadic, synchronized, and improvisational drumming based on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 core competencies. A total of 65 students participated in a weekly 45-minute program for 10 weeks. Ten participants out of 65 were selected for interviews and the rest of the 55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an open-ended survey. Content analysis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produced 492 meaningful statement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hemes: somatic responses to drumming, emotional processing, group cohesion, empathy, relationship with peers,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dyadic, synchronized, and improvisational drumming may promote prosocial behaviors in students of this age. The author discussed that drumming produces physical input directly from the instruments, which prompts students to identify and empathize with their own or others’ emotions.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collaborative work between school music teachers and music therapists may positively impact middle school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as they pertain to school violence in Korea.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