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호음악 감상이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ferred Music Listening on Police Officers’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제14권 제1호
- : KCI등재
- 2017.06
- 41 - 62 (22 pages)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감소에 선호음악 감상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로 실험집단 19명은 선호음악 체크리스트에 근거한 약 20분의 개별 음원을 감상하였고, 통제집단 21명은 단순 휴식을 취하였다. 측정도구는 Lee(1999)가 개발한 직무 스트레스 척도와 일본산업위생협회 산업피로연구회(Japan Association of Industrial Health Industrial Fatigue Research Committee, 1970)에서 개발한 피로 자각 증상 척도를 사용하였다. 선호음악 감상 중재는 2016년 10월 11일-19일까지 총 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for Windows 22.0로 통계 분석 처리하였는데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는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직무스트레스 전체점수와 실험집단 내 직무스트레스 사전-사후 점수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피로도와 실험집단 내 피로도 감소에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5). 본 연구에서는 편의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감소에 있어 집단 간, 집단 내에서 선호음악 감상이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수용적 음악감상과 더불어 적극적 음악치료 활동을 제공하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감소에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중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preferred music listening had on police officers’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The musical intervention took place over a total of six sessions from October 11 to October 19, 2016. At each session, the experimental group (n = 19) received 20 minutes of music listening with individually customized playlists that were compiled based on their preferred music list. The control group (n = 21) simply took a break from work for 20 minutes. Every participant checked his or her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level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using the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and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Test. The data were then analyzed by the SPSS 22.0 statistics program. To examine the homogeneity and pretest-posttest results between groups, an independent t test was conducted, and a paired t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pretest-posttest results within groups. The results confirmed all hypotheses. Findings support that the use of preferred music listening is an effective way to help police officers to control their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This study used a convenience sample and has limited generalizability.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interactive approaches in music therapy as well as receptive music listening for alleviating police officers’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