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음악치료의 구성요소에 대한 고찰
Review of the Theoretical Components of Community Music Therapy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제14권 제2호
- : KCI등재
- 2017.12
- 91 - 105 (15 pages)
커뮤니티 음악치료는 현대사회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음악치료의 대상과 영역을 커뮤니티로 확장한 음악치료의 최신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CoMT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 CoMT의 구성개념을 커뮤니티, 음악, 건강으로 구분하고, 실행커뮤니티 이론을 토대로 커뮤니티(사람들의 집합체, 상호작용 행위의 장), 음악(행위의 실체이자 대상, 협업적 음악만들기), 건강(행위의 동기이자 목적, 관계 및 사회적 웰빙)의 각 개념을 구체화하였다. 위의 세 요소 간의 연결성을 바탕으로 CoMT의 구성요소를 도식으로 제시하고, 커뮤힐 도식이라 명명하였다. 커뮤힐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nsdell과 Stige가 커뮤니티 음악치료 논문에서 제시한 두 사례에 해당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CoMT는 타 학문 및 실행 분야와 협업을 하며 사회문화적 맥락에 적응적이고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발달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연구 및 실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oMT의 핵심개념을 도식화하여 제시함으로서 구성요소와 개념 이해를 명료화할 수 있었고, CoMT 관련 후속 연구 및 실행의 기틀을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Community music therapy (CoMT) has been recently developed and expands the opportunities for music therapy. The concept of CoMT is introduced in this article, and its three attributes of community, music, and health are reviewed. This study specified each attribute of CoMT: a community (a group of people, a field where members of a group interact with each other), music (a substance of interaction, collective music-making), and health (motivation and goal of interaction, relational and social well-being). The application and interactions of the three attributes of CoMT are introduced as in the concept of community music, music and health, and community health. How CoM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music therapy is also detailed and based on the concept of CoMT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attributes, the CoMT was reconstructed as CoMuHeal in this study.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propose how music therapy approaches can be developed to provide music for well-being and better health in the community and how CoMT can be applied in collaboration with other professional fields.
Ⅰ. 서론
Ⅱ. CoMT에서의 커뮤니티, 음악, 그리고 건강
Ⅲ. CoMuHeal의 도식을 활용한 CoMT 사례 분석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