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 드럼 연주 시 노래부르기 유무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 비교
The Level of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Drum Playing Depending on Co-Presence of Singing Task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김현지(Kim, Hyun Ji)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제1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12
- 71 - 90 (20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악기연주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이 달라지는지 비교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신체 재활 시 활용 가능한 악기연주 및 노래부르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노인 복지관과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1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로,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6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 진행 시 2회기에 걸쳐 실험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비교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만을 수행하였으며, 각 집단에 따라 피로도, 운동자각도, 활동 참여도, 드럼 타력값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한 실험 집단이 전자 드럼 연주만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피로도와 운동자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자 드럼 연주와 노래부르기를 복합 과제로 제시하였을 때 활동 참여도 역시 높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이를 사용한 음악치료 중재 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환자의 상지 운동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가 신체 운동에 대한 주의를 노래부르기로 전환시키고 참여 동기를 증진시켜 지속적인 움직임 유도 시에도 피로도 또는 운동자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체 재활 시 반복적인 운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운동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복합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mmediate differences in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instrumental play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epending on whether singing task was concurrently presented. A total of 12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and daycare centers for older adults in Seoul. Six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six to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sing while playing the electronic drum, and the comparison group only played the dr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fatigue and exertion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level of engagement in playing or force of tapping during drum playing. This study supports the inclusion of a singing task in instrument playing rehabilitation to effectively decrease perceived fatigue and level of intensity of exercises, although this may not lead to immediate changes in motor function or level of target exerci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singing while instrument playing may help stroke patients shift their attention from the executed motor movements to singing and alleviate the attentional and emotional load from intense movements.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how to select and pattern target movements in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better motor outcom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