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66.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학교 음악교과의 운영과 음악치료적 접근에 대한 교사인식

Music Teachers’ Perceptions of the Music Therapy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본 연구는 특수학교 음악교사의 음악수업 경험을 통해 음악교과의 운영과 음악치료적인 접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7명의 특수학교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결과로 4개의 대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대주제에 대한 하위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음악교과 수업의 목표와 형태-장애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는 수업, 악기 한 가지 연주하기와 노래 한곡 부를 수 있기, 웃을 수 있는 즐거운 음악시간, 공감과 미적 성취감, 2) 음악교과 수업운영의 어려움-생활연령에 맞지 않는 음악교과서,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고요함, 물리적․심리적 시간의 부족, 음악교사로서의 자기평가, 3) 음악교과 수업의 치료적 접근경험-음악치료를 통해 나타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 변화를 발견하는 기쁨, 함께하는 우리, 4) 음악교과 수업의 치료적 접근에 대한 방해요소와 지원요구-안전위주의 방어적 수업, 치료적 접근을 위한 전문지식의 부족, 관리자와 학교환경의 문제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현장에서 음악교과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의 제한점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better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music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music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seven special education music teachers. During the interview, four major themes and 14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main themes were the following: (a) types of applied activities and the goals of music classes (e.g., activities to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ility and intended outcome), (b) difficulty in implementing the music curriculum (e.g., lack of fit between textbook and students’ chronological ages, lack of time and focus, self-evaluation of performance as a music teacher, (c) therapeutic experiences during music classes (e.g., expectation for positive effects through music therapy, joy of witnessing changes in students, and sense of togetherness), and (d) obstacles to the therapeutic approach of music classes and need for support (e.g.,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regarding therapeutic approaches and problems with administrators and school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ults, problems in implementing the music therapy approach as part of the mu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are discussed and practical solutions for educators are offer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