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동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
A Case Study of Synchronization-Based Group Music Therapy for Promoting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제17권 제1호
- : KCI등재
- 2020.06
- 97 - 125 (29 pages)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ASD)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동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연구이다. 중재 프로그램은 ASD 아동의 사회기술 발달에 있어 운동조절이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총 5명의 ASD 아동이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중재는 주 2회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결과분석을 위해 중재 안에서 관찰된 공동 행동 참여, 동시적 움직임, 눈맞춤 시도, 상호작용 시도 행동의 발생률과 중재 과정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음악행동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세션 내 관찰행동의 변화가 외부 환경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부모에게 사전ㆍ사후 부모용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P)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에 참여한 대상자 모두 또래 간 동기화된 움직임 및 또래에 대한 자발적인 상호작용 시도 행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 점수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SD 아동의 지각-운동 연합에 있어서의 문제를 반영한 동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가 ASD 아동 간 동기화된 움직임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동기화에 기반을 둔 음악치료적 개입이 어떻게 ASD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지 임상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ynchronization-based group music therapy for improving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participants were fiv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6 and 10 with ASD. A total of eight 30-minute music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two times a week. During sessions, target behaviors (i.e., engagement in joint action, synchronized movements, eye contact, and initiation of social interaction) were observed and analyzed. Also, the PIPPS-P was completed by parents to identify behavioral changes in real-life environments from pretest to posttest. Following the intervention, all of the participants showed increases in synchronized movements with peers and attempts to initiate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parents rated their children’s play behavior as being improved in their everyday living environment. These results support that synchronous movements between children with ASD, which were facilitated with rhythmic cueing, led to enhanced engagement in joint action. Considering that those movements are the basis for further social skills (e.g., play behavior),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synchronization-based group music therapy could be an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for improving the peer interaction of this popul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