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Thematic Analysis of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Experience of Music Therapy Interns: A Focus Group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제17권 제1호
- : KCI등재
- 2020.06
- 1 - 24 (24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을 심층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인턴 다섯 명을 대상으로 경험적 음악치료 집단의 일환으로 치료적 노래만들기 워크샵을 240분씩 총 2회 진행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들의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자료를 Braun & Clarke(2006)의 방법으로 주제분석하여, 총 6개의 주제와 18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주제는 ‘치료적 노래만들기에 대한 선입견’, ‘의미있는 작사 과정’, ‘작곡에서의 도전적 경험’, ‘치료적 노래만들기 기법의 구조성 경험’, ‘음악을 통한 자기인식의 발전’, ‘집단작업을 통한 관계적 경험’으로 나타났다. 음악치료 인턴들은 치료적 노래만들기의 단계적 구조를 통해 집단의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소통하면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나의 노래로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들의 약점이라 느꼈던 작곡에 대한 부담감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욕구와 필요성을 인식하며 개인적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 인턴은 치료적 노래만들기 과정에 참여하면서 인턴훈련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을 규명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개인적 성장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internship is essential for the music therapy curriculum and affords interns the opportunity to apply their classroom-based knowledge and skills to real-world clinical settings. However,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internship can result in interns undergoing trial-and-error learning, interpersonal conflicts, and intrapersonal difficulties. An experiential music therapy group may be useful in helping interns process these incidents and develop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We explored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y interns participating in therapeutic song writing. In this study, five music interns completed two 4-hour sessions of therapeutic song writing. Following the second session, a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to gather data on their experiences. The interview was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Six themes and 18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The six themes were preconceptions of therapeutic song writing, meaningful lyric creation, challenges in song composition, structured experiences during song writing process, development of self-awareness through music, and relational experiences resulting from the group process. Participants were able to incorporate their individual internship experiences into a single song by communicating with group members during the step-by-step process. Participation in therapeutic song writing was found to help music therapy interns identify and process challenges encountered during their internship and further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