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70.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음악과 수업 방안 연구

Teaching Methods of Inclusive Music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Based on Application of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DOI : 10.21187/jmhb.2021.18.1.079
  • 142

본 연구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음악과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통합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백워드 설계 템플릿 2.0 버전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3ㆍ4학년 통합학급의 음악과 단원을 개발하였고,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학습 경험 계획하기’의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고려한 맞춤형 수업의 요소를 제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목표와 본질적 질문을 제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루브릭과 다른 증거 자료를 제시하였다. 학생의 준비도, 흥미, 학습 유형에 따른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WHERETO 모형을 활용하여 7차시의 학습을 계획하였다. 또한 교실의 요소를 유연하게 사용하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맞춤형 수업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든 학생의 이해를 강조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학생의 다양성을 배려하는 맞춤형 수업을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하여 통합교육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실현을 위한 음악교육 설계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inclusive music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by of music in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To this end, based on the 2.0 version of the backward design template, a unit for music lessons for 3rd and 4th grade inclusive classes was developed. The unit presented element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at consider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each stage. In the first stage, goals and essential questions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second stage, a performance task was developed using the GRASPS technique, guidelines and examples were presented. Various evaluation methods based on students’ readiness, interest, and learning type were suggested. In the third stage, the unit’s seven lessons were planned using the WHERETO model. Example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presented by flexibly using classroom elements. This study indicated that understanding by desig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can be applied to inclusive education. Future studies on more diversified educational design and strategies are needed for promoting inclusive education.

Ⅰ. 서론

Ⅱ.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

Ⅲ.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을 적용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음악과 수업 방안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