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성인 뇌손상 환자 대상 음악중재 연구 고찰
Review of the Research in China on Music Interventions for Adult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제18권 제2호
- : KCI등재
- 2021.12
- 67 - 85 (19 pages)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 성인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을 활용한 중재 연구들을 고찰하여 전반적인 특징과 음악중재 및 음악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내 자료 선정기준에 따라 총 83편의 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2년 이후 음악을 활용한 중재연구가 증가하였고, 이 중 무작위 대조군 연구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재영역별로 분류한 결과 신체영역과 정서영역은 유사한 비중을 차지하였고, 음악치료사가 시행한 연구는 14편(24.5%)으로, 타 분야의 연구자에 의해 시행된 43편(75.4%)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재 제공자의 전문 분야에 따라 중재의 특성에도 차이가 있었다. 타 분야 연구자가 중재한 연구들은 정서영역을 목표로 하여 기존의 녹음 음악을 사용한 감상 활동을 주로 진행 한 반면, 음악치료 전공자가 중재한 연구들은 신체영역의 목표를 위해 치료사가 재구성한 음악을 라이브로 제공한 경우가 많았다. 중재 내용의 기술 수준 및 기법의 적절성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향후 중국 내 음악치료 연구에서 음악의 치료적 고유성과 중재자 전문성에 기반한 중재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뿐 아니라, 연구 내 중재 기법을 구성하는 치료적 근거가 명확하게 기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reviewed the research in China on music interventions for adult brain injury patients. Eighty-three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for analysis. Our review revealed that the number of intervention studies using music with adult brain injury patients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12, and random control research design methods have been dominant. Studies focused on the physical domain and emotional domain together were most common. Researchers in fields outside of music therapy conducted 43 of the studies, and music therapists carried out 14 of the studies as intervention providers. Most of the studies carried out by experts in fields other than music therapy used listening activities involving preexisting recorded music. However, most of the studies conducted by music therapists adopted reconstructed music and played it live during their intervention. The specificity of the described content of the interventions and level and relevance of stated rationale to the target goal of the intervention suggests that high quality of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a therapist/investigator who has completed adequate professional education/training, which w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This study provides the baseline data for how music intervention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in China and presents implications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