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71.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음악제작 앱 기반 상호적 음악만들기 사례

A Music Technology-Based Interactive Music-Making for Improving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OI : 10.21187/jmhb.2021.18.2.019
  • 557

본 연구는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제작 앱 기반 상호적 음악만들기 활동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된 사례연구이다. 음악만들기 중재는 타인의 음악패턴을 모방하여 주고받는 음악적 모방 단계(1단계), 타인의 음악패턴을 반영하는 음악적 표현과 조정 단계(2단계), 타인과 공동 음악만들기를 시도하는 음악적 상호작용의 확장 단계(3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다양한 수준의 음악을 완성하고 조정하는 기회를 통해 대상자가 의견을 개시하고 조율하는 행동을 촉진하고자 물리적 악기가 아닌 음악제작 앱과 GarageBand를 활용했다. 연구대상자는 ASD로 진단받은 만 8세, 만 11세의 남아이고, 중재는 회기별 40분씩, 주 2회, 총 8회기 진행되었다. 음악적 상호작용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음악 활동 시 대상자의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을 관찰하여 분석했고, 대상자의 부모에게 사전ㆍ사후 사회적 반응성 척도(SRS-2) 검사를 평정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 중재에 참여한 대상자 모두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과 음악적 상호작용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사회적 반응성 척도 점수에서 전반적인 감소가 나타나 본 연구가 대상자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음악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상호적 음악만들기 활동이 ASD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interactive music-making intervention using GarageBand was applicable to improve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wo children with ASD (both male, ages = 8 and 11 y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active music-making intervention included three stages: 1) musical imitation, 2) musical expression and coordination, and 3) musical interaction. Each session lasted 40 minutes, and sessions took place twice a week over 4 weeks. The participants’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were observed and analyzed in terms of exchanging ideas with each other. Engagement in interactive behaviors (e.g., turn-taking, imitating or reflecting the investigator’s music, and creating one’s own music using the motive from the investigator) during music making was also analyzed. During the sessions, increases in the attempts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music making processes and requests for help for the process were observed. Engagement in turn-taking form of interactive playing and reflecting the musical motive from a partner (i.e., investigator) were also improved. The Social Responsiveness Scale-2 (SRS-2) ratings indicated negative social behaviors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in both participa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active music-making activities using GarageBand can be an effective method in clinical practice to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AS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