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gram on Job Stress and Self-esteem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 506
161730.jpg

목적 본 연구는 산림치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단순 휴양보다 참가대상에 따른 특성과 치유 목표에 부합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따라 기존에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산림 치유 프로그램을 지적 장애인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는 실험연구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이질 집단을 선정한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의 방법을 채택하였고, 울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센터 근무자 직원 중에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명상과 신체활동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주2회, 회기 당 120분씩 총 10회기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명상과 신체활동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역할특성, 직무관련, 대인관계, 임금 및 작업환경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하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명상과 신체활동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노인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는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명상 및 신체활동을 통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면 신체적·정신적 질병을 예방하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forest therapy program,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forest therapy program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and therapy goals of participants rather than simple recreation, by reorganizing the forest therapy program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Methods This study adopted the design method of the pre-post test control group which selected the heterogeneous group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selected 20 experimental group and 20 control group among the employee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locat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a forest healing program focusing on meditation and physical activity twice a week from June to July 2021, and a total of 10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Results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cused on meditation and physical activit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reducing job stress of role characteristics, job rel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ges and work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cused on medit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positive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reducing the negative self-esteem.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rough medit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job stress and self-esteem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o if the job stress is effectively managed through the forest therapy program,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event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and improve self-esteem,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