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상황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배수지가 격리된 경우 비상연계 운영을 통해 고립된 배수 블록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비상연계 운영은 무단수 공급을 위한 해결책이지만, 명확한 기준은 부재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지의 용량과 비상연계 운영 시의 공급가능률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S시의 상수관망에 네 가지 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A-PDA 수리해석 모형을 통해 공급가능률을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공급가능률이 인접 배수지의 용량에 비례함을 보였다. 다음으로 비상연계 운영 시 유산한 용량을 가진 배수지를 독립적/동시에 비상연계 운영하는 경우를 비교하였다. 독립적으로 운영이 되는 경우 50% 정도의 공급가능률을 보였으나, 동시에 운영이 되는 경우 공급가능률은 70%로 보다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했다. 하지, 비상연계 운영을 실시한 이후 배수지의 저류량 회복은 공급가능률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신중한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In the case of a reservoir failure, emergency interconnection operation can be initiated to supply water to the isolated block from an adjacent reservoir (s). Emergency interconnection operation is an effective solution to continue water service; however, no clear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rvoir capacity and the supply performance of emergency interconnection operation was identified and explored. Four scenarios were constructed for a water distribution system located at S-City, and the efficiency was quantified using availability, which is calculated by the A-PDA model. The results show that a larger capacity of an adjacent reservoir results in higher availability. Another set of scenarios was used to evaluate the supply performance of emergency interconnection operation with similar-capacity reservoirs, either independently or simultaneously. In the case of a separate connection, the availability was approximately 50%; however, it increased to 70% when both reservoirs were connected simultaneousl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fficient to operate an emergency connection with a larger reservoir. However, recovery from the emergency interconnection operati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vailability itself; therefore, careful planning is required when the duration of the emergency interconnection operation is expected to be long.
1. 서 론
2. 상수관망 수리해석 기법
3. 대상 상수관망 정보
4. 비정상 시나리오
5. 적용 결과
6.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