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차열 방화문의 내부충진재 성상에 따른 이면 온도 상승 경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emperature-Rise Tendencies of Insulated Steel Fire Door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Core Materials

  • 112
161763.jpg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의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차열 방화문 중 내부충진재를 미네랄울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그 성상에 따른 온도 상승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실제 미네랄울을 사용한 차열 방화문의 시험 데이터를 분석, 미네랄울의 밀도와 두께에 차이에 따른 온도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최고 밀도(150 kg/m3)와 최저 밀도(100 kg/m3)의 상승 온도 차이는 10 K, 최고 두께(60 mm)와 최저 두께(45 mm)의 상승 온도 차이가 60 K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차열방화문에 있어서 내부충진재의 밀도는 일정 수준 이상이면(100 kg/m3 이상) 이면 온도 상승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두께는 두꺼워질수록 이면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차열 방화문의 성능시험 실효성을 재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라 양면에 대하여 성능시험 하고 있는 것을 차열 방화문에 한하여 실제 설치되는 방향인 ‘당기는 문’ 방향으로 2회 성능시험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rise tendencies and properties of mineral wool was analyzed for cases of mineral wool being used as a filler inside insulated fire doors installed in the evacuation space of apartments. The density and thickness of the mineral wool were separately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ensity and the greater the thickness, the more suppressed the temperature rise.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rising temperature between the highest density (150 kg/m3) and lowest density (100 kg/m3) mineral wools was 10 K, which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thickness (60 mm) and lowest thickness (45 mm) mineral wools was 60 K, indicating that the temperature rise was more affected by the thickness than the density of the mineral wool.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performance tests of fire doors, which are currently performed on both sides of a door in accordance with the fire resistance test method, are performed twice on the side from which the door is pulled, which corresponds with the direction in which insulated fire doors are actually installed.

1. 서 론

2. 대피공간

3. 차열 방화문

4. 시험 방법

5. 시험 결과 및 분석

6. 결 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