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784.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동기시대 취락변천상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Multi-Scalea Approaches to Changing Bronze Age Settlement Patterns: With Special Reference to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 145

취락의 입지선택은 여러 요소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매우 복합적인 결정이 요구된다. 청동기시대 취락양상이 그런‘복합적인 결정행위’의 소산이 아니라고 할 고고학자는 없을 것이다. 이렇듯, 청동기시대 취락에 대한 고고학의 접근은 해당 문제가 복합적이니만큼, 다각·다차원적이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세종특별자치시 경내 청동기시대 취락의 변천에 관련된 문제를 세 차원 또는 수준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81개 지점에서 조기부터 후기에 이르는 청동기시대 (단위)취락이 확인되지만 대부분이 전기와 중기에 속해 변천상에 대한 설명은 그 두 시기에 집중된다. 점유표면분석, 순위-규모분석, 입지—고도 및 하천으로부터의 거리—분석, 토양분포분석 등 몇 가지 분석의 결과, 광역적 취락분포유형, 생계자원 생산전략, 가구군 형성, 가구의 생산양상 등에서 변화를 인지할 수 있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는 호서지역 전-중기 전이과정의 일반적인 경향—인구의 증가, 수도작의 본격적 확산, 가구군 형성의 확대—에는 오히려 역행하는 것들이 적지 않다. 광역적 인구 재편 등에 따른 국소적 양상의 불일치가 그 원인일 가능성을 점쳐본다.

Selecting locus of settlement requires a quite complex decision-making procedure. Any archaeologist is not likely to deniy that Bronze Age settlements were resulted from the ‘complex decision-making behavior.’ Likewise, archaeological approaches to Bronze Age settlements, due to complexity of the relevant questions, should be multi-facetual and/or multi-scalea. I attempt at dealing with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hanges of Bronze Age settlement patterns in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in varying levels. Although remnants of Bronze Age settlements dated from Incipient to Late phases have been found at 88 loci in this area, most belong to Early and Middle phases. Thus, I focus on the transition from Early to Middle phases. The results of several analyses, such as occupation surface analysis, rank-size analysis, analysis of location-elevation and distance from major stream- and soil analysis, show changes in regional settlement patterns, subsistence strategies, formation of household cluster and household productive patterns. However, the changes seen in the City seems not compatible with what commonly witnessed in Hoseo Region-population growth, rigorous spread of wet-rice farming, expanding formation of household cluster. It could be suggested that regional reorganization of population might have ascribed to the inconsistency of local patterns.

Ⅰ. 서론

Ⅱ. 취락 안팎의 문제에 대한 고고학의 이해

Ⅲ. 세종특별자치시 청동기시대 취락유적의 특징

Ⅳ. 세종특별자치시 청동기시대 취락양상 변화와 그 함의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