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822.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 체육실기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만족, 자기주도 학습, 학업성취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lass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College Physical Activity Online Class : Focusing o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DOI : 10.37181/JSCS.2022.6.1.053
  • 185

이 연구는 대학체육 실기수업을 온라인으로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로부터 수업만족, 자기주도 학습,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서울 소재 D대학교에서 2020-1학기부터 2021-1학기까지 전공 및 교양체육 온라인 실기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234명 학부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171명(73.1%)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만족은 자기주도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업만족은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주도 학습은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수업만족과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변인 역할을 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수업만족과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인 역할을 하지 않았다. 대학 비대면 수업의 불가피한 교육 환경에서 대학 체육실기 수업은 특성에 맞는 철저한 내용과 효과적인 수업 운영 계획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lass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rom students who have taken college physical activity online classes. The subjects were 234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taking online activity classes in major and liberal arts from the 2020-1st semester to the 2021-1st semester, at a university in Seoul. A total of 171(73.1%) excluding the insincere questionnaire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For data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ass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class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ird, self-directed learning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urth, self-directed learning did not pla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irected learning did not pla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variable.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requires online college classes, in particular, college physical activity online classes should have thorough contents and effective class management plans tailored to their characteristic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