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828.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제시기 을종 농업학교 학생의 졸업 후 진로

Career Paths after Graduation of Second-class Agricultural School Stud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85

이 논문은 일제시기 농업학교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사회사적 이해의 폭을 넓히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3년제 을종 농업학교였던 상주공립농잠학교 학생들의 졸업후 진로를 살펴보았다. 상주농잠은 농업학교의 일반적인 경향과 마찬가지로 자가농업에 종사하는 비중이 낮고 대다수가 관공서에 취업하였는데, 특히 갑종학교에 비해 다양한 직종에 진출하기보다는 관공서로 몰리는 경향이 강했다. 또한 근무 지역의 공간적 범위도 거의 도내로 제한되었고, 도내 행정 중심지로 진출하기보다는 다수가 고향에서 취업처를 찾았다. 이처럼 상주농잠 학생들이 졸업후에 근무 분야와 지역에서 제한성을 보이는 것은 을종 농업학교의 특성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다만 1930년대 중반 이후에는 상주농잠 졸업생들도 지방 하부단위보다는 상급단위 소속 관청에 취업하거나 농회보다는 금융조합에 취업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러한 양상은 대체로 갑종 농업학교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새로운 양상이 전시체제의 개시와 연관되는지, 전시체제 기간에 지속되는지, 또 해방 후에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등의 문제는 향후 연구 과제로 남는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intention to broaden the socio-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status and role of agricultural schoo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areer paths of students at Sangju Public Agricultural & Sericultural School(SPASS), a three-year term second-class(Euljong, 乙種) agricultural school, after graduation. Similar to the general trend of agricultural schools, the proportion of those engaged in self farming was low, and most of them were employed in government offices. In particular,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go to government offices rather than advance to various occupations compared to the first-class(Gabjong, 甲種) schools. In addition, the spatial scope of the working area was almost limited to the province(Do, 道), and many sought employment in their hometowns rather than advancing to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province. As such, the fact that SPASS students show limitations in the working field and area after graduation is a testament to the characteristics of Euljong agricultural school. However, after the mid-1930s, graduates of SPASS also had a strong tendency to work in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the upper level rather than in the lower local level, or in the financial union rather than the agricultural association. This pattern seems to have been occurring in the first-class agricultural schools in general. Whether these new aspects were related to the start of the wartime regime, whether it persisted during the wartime regime, and what kind of changes it showed after liberation from the colony remains a subject for future research.

Ⅰ. 머리말

Ⅱ. 자료 소개

Ⅲ. 졸업 후 진로의 일반적 양상

Ⅳ. 학생 특성에 따른 졸업생 진로의 특징적 양상

Ⅴ. 시간적 추이에 따른 졸업생 진로의 변화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