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844.jpg
KCI등재 학술저널

What is Ophelia? ― 생태비평으로서의 <오필리아>

What is Ophelia?: The Film Ophelia as Ecocriticism

DOI : 10.19116/theory.2022.27.1.257
  • 318

이 논문은 클레어 매카시의 영화 <오필리아>가 어떻게 셰익스피어의 <햄릿>에 나타난 오필리아의 이미지와 위치를 급격하게 변형시키는지, 그리고 이것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리사 클라인의 동명 소설에 기반하고 있으나 몇 가지 주요 변화를 부여한 이 영화는 셰익스피어의 원작과 이후 계속적으로 재생산되어 오던 오필리아의 이미지와 의미에 대한 수많은 비평들과 메타비평들이 축적된 결과물이자 페미니즘적 관점과 생태적 관점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이 영화는 주요하게 셰익스피어 시대의 여성관에 대한 비판, 오필리아에 대한 관음증적인 문화적 재현과 소비의 역사, 남성화된 근대 과학, 정치중심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 담겨있다. 그런 비판들은 생태친화적 모습과 태도를 지닌 오필리아라는 인물을 중심에 두고 그녀를 매개로 하여 전방위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이 글에서 나는 이 영화에서 드러나는 생태친화적 면모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면서 그 자체로 하나의 ‘생태비평’의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말하는 ‘생태비평’이란 에코포비아에 반대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자연에 대한 두려움이나 증오가 동식물과 여성, 그리고 다른 자연물들에 투사되어 행사되는 것에 저항하며 다른 이해와 태도를 제시하는 비판적 경향을 두루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오필리아>가 이런 넓은 의미의 생태비평으로서 기능하며, 숲과 식물, 동물과 여성, 지식과 권력 등 자연과 문화를 아울러 세계를 생태적 관점에서 다시보기할 것을 제안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will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Ophelia in Hamlet through Ophelia, a film adaptation by Claire McCarthy of Lisa Klein’s novel of the same title. The context that necessitated the change in both the novel and the film is also a major topic of this stud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ansformations of Ophelia in both image and sense are due to unavoidable flow and sociocultural action in our time. The film Ophelia seems to result from the criticisms of Ophelia accumulated since Shakespeare’s Hamlet was created and to present a meta-criticism of them from a combination of feminist perspective and ecological one. This includes all of criticisms of the view of women in the Shakespearian era, the history of voyeuristic cultural consumption of Ophelia, masculinized modern science, and the political-centered world. Referring to all of these, I apply the word ‘ecocriticism’ to the film. Ecocriticism in a narrow sense opposes ecophobia, but in a broad sense, it refers to a critical approach towards and interpretation of a fear or hatred of nature projected and exercised on plants, animals, women, or other objects, involving new understanding and attitudes from the past. I will argue that the film Ophelia attempts to rewatch/rewrite both nature and culture, including forests, plants, animals, women, knowledge, and power, broadly from an ecocritical perspective.

1. 머리말

2. “What is an Ophelia?” ― 물음의 이유

3. 생태적 전환과 외부세계의 도입

4. 여성성의 의미 전환과 ‘쿨한’ 결별

5. 맺음말

인용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