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850.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 범죄와 양형

Corporate Crimes and Sentencing: on the U.S. Organizational Guidelines

  • 57

미국의 준법윤리 프로그램을 우리나라가 도입하였지만, 그다지 성공적이라고 느껴지지 않는다. 이 논문은 그 원인을 찾아 미국의 준법통제 제도가 운용되는 환경을 이루는 미국 형사법의 기업 범죄 및 기소, 양형 제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척도로 삼아 우리의 기업 범죄와 준법통제 제도를 평가해보았다. 미국의 기업 범죄와 관련하여 범의와 같은 구성요건들, ‘기업에 대한 연방 기소 원칙(Principles of Federal Prosecution of Business Organizations)’에 의한 기소 재량의 견제, ‘연방양형지침(Unite States Sentencing Guidelines)’에 의한 양형 과정과 준법윤리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제도로서는 법인의 형사책임, 상법상의 준법통제기준 등 내부통제 제도, 이사의 감시의무에 관한 최근의 대법원 판례를 검토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비교법적 방법을 통해 결론으로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기업 범죄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 다양한 범죄 영역에서 기업의 책임을 폭넓게 인정하는 미국과 달리, 의제적 존재라는 법인 본질론에 얽매여 법인의 형사책임을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바라보는 우리의 태도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 범죄에 대한 기소와 양형에 있어 명확한 지침을 적용하여 양형의 형평성을 도모하면서도, 개개 범죄마다 범법수위에 비례하는 기초 벌금액을 정한 후 가벌성 점수로 4배까지의 가중과 95%까지의 감경을 가능하게 하는 양형의 신축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법무부의 탄력적인 기소권 행사 및 법원의 다양한 구제수단을 통해 최적의 제제를 추구하는 미국의 제도는, 그 정교함이 우리의 제도와 너무도 달라 그만큼 더 고민해 볼 과제를 던져준다. 셋째, 준법통제와 관련하여 미국의 양형기준이 정하는 인센티브가 자율적 프로그램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우리나라도 준법통제 제도를 양형 감경인자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제도의 운용 여건을 개선해나갈 필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최근에 우리나라의 대법원이 미국 판례들의 취지를 채택하여 대규모 주식회사의 준법통제를 이사의 감시의무와 연결한 것은 준법통제 제도의 앞날을 밝게 해주는 아주 다행스러운 일이다.

We have adopted the compliance and ethics programs from the U.S.A., however, it is doubtful that they have been working nicely in Korea. Seeking to find the causes for this, this paper analyzes the U.S.A’s legal systems and environments on corporate crimes, and the prosecution and sentencing thereto.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the paper then attempts to evaluate our own systems. With respect to the corporate crimes in the U.S.A., the papers examines the elements of crimes, such as mens rea and actus reus, as well as their efforts in controlling the prosecutorial authorities via the “Principles of Federal Prosecution of Business Organizations.” It also studies the “United States Sentencing Guidelines” to find out the process of sentencing and the compliance programs. As for the Korean side, the paper examines the recent Supreme Court cases on the criminal liability of an entity, the compliance programs under the Commercial Law, and the directors’ obligation of supervision. This paper, through a comparative research, finds the following significant. First, in the treatment of corporate crimes, the American system broadly recognizes the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in various categories of crimes, yet our system tends to take a very narrow view toward the same, limited by the nature of a legal entity as a legal fiction. The paper proposes that we need to reconsider our position on this. Second, we need to focus on the detailed approach taken by the U.S.A. It promotes fairness and predictability in prosecution and sentencing with detailed principles and guidelines. It achieves flexibility by assigning base offense levels to each crime and the corresponding fine ranges, yet allowing the sentencing court to increase the fine four folds and to reduce the amount to 95% through the use of culpability scores. The U.S. system guides both the prosecution and the courts, and allows the courts to impose tailor-made penalties with various remedial orders. We need to think about improving our system with such detailed measures and guidelines. Third, with respect to compliance programs, we should take notice that, in the U.S.A., the guidelines treatment of such programs as a mitigating factor in sentencing provides strong incentives for corporations to establish and follow such programs. Here, we might want to consider adopting this feature into our system for more incentives. In this regard, the author is happy to note that the recent case from our Supreme Court that have related directors’ duty of supervision to the compliance programs in big corporations, as the American cases have held.

Ⅰ. 머리말

Ⅱ. 미국의 기업 범죄

Ⅲ. 미국의 조직범죄 양형지침

Ⅳ. 우리나라의 현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