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850.jpg
KCI등재 학술저널

직업선택의 자유와 타투이스트

Freedom of Occupation with Respect to Tattooists

  • 142

우리 사회에서 그리 문제가 되지 않았던 타투 시술이 80년대 말 90년대 초반부터 점차 성행하기 시작하면서 단속의 대상이 되었다. 대법원은 1992년 타투 시술 행위가 문제가 된 사건에서 의료법상의 “의료행위라 함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행위뿐만 아니라 의료인이 행하지 아니하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행위”라 판시하였다. 그 이후 비의료인의 타투 시술 행위는 의료법 위반으로 법적 처벌의 대상이 되었다. 헌법재판소도 대법원과 마찬가지로 의료행위를 “의학상의 기능과 지식을 가진 의료인이 하지 아니하면 보건위생상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는 일체의 행위”라 정의하고, 의료행위는 일정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국가의 검증을 거친 의료인에 의하여 행하여져야 하므로 무면허 의료행위를 일률적・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그 치료 결과에 관계없이 형사처벌의 대상으로 한 의료법 조항을 합헌이라 판시하였다. 본고에서는 타투이스트에게 의사면허를 요구하는 것은 자격제에 의한 헌법상 직업선택의 자유에 대한 강력한 제한이므로 그 제한이 직업 활동의 내용과 요구되는 자격과의 비례성에 적합한지 여부를 고찰한다. 나아가 타투의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대중화에 따라 타투 시술의 합법화를 위해 발의된 문신사법안의 분석과 향후 과제를 검토한다.

Tattoo procedures, which had not been that problematic in our society in the past, began to gain popularity from the late 1980s to the early 1990s, and became an object of regulation. In 1992, in a case involving Tattoo art application the Supreme Court held that “medical practice as defined in the medical laws means not only the prevention of diseases and the medical treatment but also the act which has concerns of being harmed in health hygiene unless performed by a licensed physician.” Since then, non-medical personnel’s Tattoo procedural acts have been deemed a violation of the medical laws and thus becom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Like the Supreme Court, the Constitutional Court defined the medical practice as ‘all acts which bring harm in health hygiene unless medical personnel with medical abilities and knowledge practice’, and forbade medical practice without the license, as medical practice must be done by medical personnel who are systematically educated and pass the national verification, and ruled that in case of violation, it is constitutional to regulate or punish them, regardless of results of the treatment. As requiring tattooists to get medical licenses is strong limitation by the license system on Freedom of Occupation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the article considers whether the limitation is suitable for proportionality between the work activity contents and the required qualifications. Furthermore, the article analyzes the bill on tattooists proposed for legalization of tattoo procedures following changes of social recognition on tattoos and their popularization, and reviews tasks in the future.

Ⅰ. 들어가는 말

Ⅱ. 직업선택의 자유와 자격

Ⅲ. 자격규제와 정당화 심사

Ⅳ. 문신사법안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