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878.jpg
KCI등재 학술저널

<삼두구미본>에서 외부의 내부화와 내부의 외부화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in Samdugumibon

  • 41

본 연구는 한국무속에 등장하는 〈삼두구미본〉을 대상으로 괴물 서사가 가지는 역동적 문화 현상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삼두구미본〉이 지하국대적퇴치설화와 같은 괴물 서사와 차이점이 크다고 보며, 그 차이는 신성성이나 영웅성의 정도에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근본적으로 괴물에 관한 서사를 구성하고 괴물의 형상을 재현하는 방식에 있다고 본다. 또 삼두구미라는 괴물이 서사화되는 차이는 서사 내적이며 기술적인 문제라기보다는 그러한 서사화를 용인할 수밖에 없었던 외부의 힘과 역학관계에서 비롯되었음을 전제한다. 〈삼두구미본〉에서는 삼두구미의 서사가 잉여적이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기이하고 비대칭칭적 괴물의 형상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지하국대적퇴치설화와 같은 마스터플롯과 거리를 둔다. 〈삼두구미본〉에 외부/내부, 불안/안락함 사이의 갈등은 ‘내부’와 ‘안락함’의 완벽한 승리로 귀결되지 않으며 외부를 내부화하고 내부를 외부화하는 상호 영향의 과정으로 남는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왜 하필 이 텍스트에서 외부는 퇴치된 후에도 여전히 강력한 힘을 가진 것으로 표상되고, 서사화되는 것인가에 대해 질문하며, 그것을 직선적이며 파괴적인 죽음관과 관련된 것으로 추론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ynamic cultural phenomena of monster narratives in Samdugumibon that appear in Korean shamanism. This study posits that Samdugumibon differs greatly from monster narratives, such as the story of eradicating underground national enemies. The difference is not in terms of sacredness or heroism, but in how the work fundamentally constructs the narrative about monsters and reproduces the shape of monsters. In addition, it is premis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ization of the monster Samdugumi stems from external forces and dynamics that had no choice but to tolerate such a narrative rather than an internal and technical problem. Samdugumibon is different from master plots such as the Tales of Defeating Monsters in Underworld Nation, in that the narrative of the monster in Samdugumibon exists excessively and independently, and the shape of the monster is strange and asymmetric. In Samdugumibon, the conflict between the outside/inside and anxiety/comfort does not result in a perfect victory of “inside” and “comfort.” Unlike general master plo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 Samdugumibon remains a process of mutual influence that internalizes the outside and externalizes the inside. Finally, this paper asks why the outside of this text is still represented and narrated as having strong power after being eradicated and infers that it is related to Jeju Island’s straight and destructive view of death.

1. 서론

2. 〈삼두구미본〉 서사 구조와 괴물 형상

3. 〈삼두구미본〉에서 내부와 외부의 관계

4. 본풀이에서 외부의 흔적들, ‘그때 만들어진 법’

5. 직선적인 죽음관과 삶의 취약성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