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878.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출판과 대중화 전략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and Strategies for Popularization

DOI : 10.20516/classic. 2022.56.123
  • 186

이 글의 목적은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출판 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 현대적 출판 방향과 대중화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소통력을 높이려면 현대 출판물의 서지 데이터를 집적하여 출판 생태계 전반을 이해하고 소비문화와 유통사적 맥락에서 현대적 출판을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지금까지 영인(影印), 교주(校註), 현대역된 국문장편소설의 서지 데이터를 한데 모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현대적 출판 행로를 추적하였다. 현대적 출판은 1962년 〈임화정연〉을 현대적 수법으로 옮기는 데서 시작하여 1970〜1980년대 영인이 중심이 된다. 1990년대 전체 출판량은 전 시기 대비 감소하지만, 2000년대 대중적 출판과 함께 다시 증가한다. 2010년 가장 많은 현대역본(7종)이 출간된 후 매년 1〜2종이 현대역된다. 그럼에도 아직 60%에 가까운 작품이 현대어로 옮겨지지 못했으며 〈임화정연〉처럼 새로운 현대역이 필요한 작품도 상당했다. 이어 흥행력이 검증된 작품을 유통사적 맥락에서 발굴하여 우선 번역할 대상을 선정함으로써 텍스트 수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본 총량과 매체 수용력을 근거로 우선 번역할 텍스트를 선별하면 현대역본이 부재한 〈화씨충효록〉, 〈유효공선행록〉, 〈명주기봉〉 등과 새로운 현대역본이 필요한 〈현씨양웅쌍린기〉, 〈하진양문록〉, 〈임화정연〉 등이 그 대상이 된다. 연작 지향성이 강한 장르적 특성을 살려 시리즈물로 출판할 경우 모든 연작이 인기를 끈 〈현씨양웅쌍린기〉 연작과 〈유효공선행록〉 연작이 우선순위를 차지한다. 또한, 국문장편소설의 미감을 현대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콘텐츠 이용 형태와 장르적 속성을 고려한 출판 형태와 방향을 탐색하였다. 축약본과 오디오북으로 출판 형태를 다양화하고 구독형 플랫폼으로 이용 경로를 확장하는 것이다. 대중화는 매체와 플랫폼의 전환만으로 불충분하기에 대중적 확산과 고전 브랜딩 전략을 추가로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교육성과 공유, 큐레이션 서비스, 전문 번역가와 창작자 육성, 고전 읽기와 쓰기의 다양한 인력 확보, 그리고 학회의 역할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실천이 더해질 때 국문장편소설을 대중의 곁으로 더 가까이 돌려보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spects of the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and the methods used in their popularization To effectively popularize the classic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verall publishing ecosystem through their data on publications in the present age and to construct a new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distribution.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 and trend of modern publications, including the data on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that have been photo-printed, proofread/annotated, and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The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began with Imhwajeongyeon, published by Eulyoo Publishing Co. in 1962,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photo printing of classical novels in the 1970s, and proceeded in earnest in the 2000s after a downturn in the 1990s. Modern translations increased explosively in 2010 (seven kinds), after which only one or two works have been translated each year. However almost 60% have not yet been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It is shown that modern translations would be needed according to the readers’ patterns of use the translated works. To attain a mass readership of full-length novels among the public beyond the narrow confines of particular group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ignificant texts to be translate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distribution, set directions for modern publi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ublishing ecosystem, follow the appropriate patterns and prepare strategies for popularization. Thus, this study first translated Hwassichunghyorok, Yuhyogongsseonhaengrok, and Myeong󰠀jugibong which have long had wide popularity, holding readers’ attention for a long time- consider literary value and the state of their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proposed changes in the methods of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medium and platform. This study discusses the strategy of securing an active readership b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works and by including a more diverse participants in translation with abridged versions, audiobooks, and rewriting versions. For popularization, since the conversion of media and platform is insufficient,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pread an awareness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the academic community, spread an enjoyment of these works in the literary environment by branding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 curation service.

1. 머리말

2. 현대적 출판 목록과 양상

3. 현대적 출판 방향과 대중화 전략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