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ENT TREE를 이용한 정량적 화재 위험성 평가의 기초적 접근
Fundamental Approach to Quantitative Fire Risk Assessment Using Event-tree method
- 김동휘(Dong Hwi Kim) 김승준(Seung Jun Kim) 권인규(Inkyu Kwon)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1.11
- 111 - 111 (1 pages)
정량적 화재 위험성 평가에는 잠재적 화재 위험성과 발생 가능한 화재 시나리오의 정량적 수치뿐 아니라 화재 위험성과 화재 시나리오에 의해 유발되는 결과도 포함된다. 본 연구는 사건계통수 기법을 사용한 정량적 화재 위험성 평가 가이드의 기초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사건계통수 방식의 적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구조물에 적용되어 있는 방화대책(감지기 여부 등), 발화요소(흡연물질 등), 혹은 적용 가능한 추가적인 방화대책(스프링클러, 정기적인 대피 훈련 등) 등 구조물 화재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 가정한다. (2) 화재 예방 조치의 여러 가지 조합을 고려하여 사건계통수를 작성한다. 여러 화재 방지 조치들을 조합함으로써, 여러 시나리오를 제작한다. (3) 각 화재 시나리오의 확률은 시나리오와 관련된 화재 예방조치 이행 실패의 확률값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4) 화재 시나리오에 대한 화재 발생 확률은 화재발생의 고유비율(inherent rate)과 화재발생 고유비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화재 예방조치의 효과를 고려하여 평가되고, 화재발생의 고유비율에 대한 화재예방 조치의 효과는 잔존확률승수(residual probability multiplier)를 적용하여 평가한다. (5) 각 화재 결과의 감소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화재 예방 조치의 영향은 잔존결과승수(residual result multiplier)를 적용하여 평가한다. (6) 화재 예방 조치의 성공 또는 실패의 확률에 기반하여 모든 화재 시나리오의 잔존위험승수(residual risk multiplier)를 계산 할 수 있다. 이는 (시나리오의 확률)X(잔존확률승수)X(잔존결과승수)를 통하여 계산하며, 이 값을 화재발생의 고유비율(inherent rate)과 비교하여 화재 위험도를 파악할 수있다. 정량적 화재 위험 평가는 화재 위험 또는 화재 상황의 발생 확률과 화재 위험 또는 화재 상황의 결과에 대한 수치적 정량화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건물 전반적인 화재 위험값을 구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건물의 화재 위험 요소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