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4차 산업혁명을 반영한 무역 동향과 무역학 교육 시사점

Trade Trend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Trade Studies reflect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OI : 10.22142/atrm.2022.5.2.2
  • 607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무역환경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이 반영된 국제무역의 변화에 대하여 고찰한다. 4차 산업혁명은 3차 산업시대의 생산자동화를 넘어 생산기기의 초연결 지능화 등의 실현으로 생산과정의 최적화를 구축한다. 새로운 기술은 종전 시간과 공간의 제한 하에 있었던 서비스의 제한을 넘어서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나 국제무역 환경이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급속한 디지털화로 인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 전략을 토대로 무역학 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reflec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goes beyond the production automation of the 3rd industrial age and builds optimiz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e realization of super intelligence and super connectivity of production equipment. These new technologies are making an improvement in services that were previously under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particular, Rapid digitalizing that is follow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lso causing the environment of trade to change at a quick rate.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rade education based on the response strate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bstract

Ⅰ. 서론

Ⅱ. 4차 산업혁명이 무역에 미치는 영향

Ⅲ. 4차 산업혁명을 반영한 무역학 교육 시사점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