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History as Masculine Violence in Oswald’s Tale

『오스왈드 이야기』에 나타난 남성적 폭력으로서의 역사

  • 52
161893.jpg

비평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노만 메일러의 『오스왈드 이야기』는 역사 메타픽션의 정치사회적 가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미국 소설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비평의 흐름과 달리, 본 논문은 이 소설이 역사성을 다루는 방식과 관점에 있어 오히려 역사 메타픽션이 가지는 비판적 가능성을 제한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오스왈드 이야기』를 통해 메일러가 비판하려는 가장 핵심적인 대상은 ‘재현 불가능한 역사’라는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던적 개념으로, 그는 이 개념이 역사의 부조리함을 보여주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따라서 재현 불가능한 역사를 인과관계가 분명한 역사성으로 대체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가의 노력은 역설적이게도 그가 소설에서 가장 큰 목표로 삼는 ‘사회비판적 통로로서의 역사의 가치’를 오히려 해체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오스왈드 이야기』를 통해 메일러가 그려내는 미국의 역사는 국가 전체가 공유하는 집단적인 역사로서의 존 에프 케네디(JFK) 암살을 극도의 남성성을 지닌 두 남성간의 개인적인 대결의 서사로 대체하며, 그 과정에서 역사에 내포된 공적 담론으로서의 가치는 지나치게 사유화된 역사로 변질된다. 이 논문은 『오스왈드 이야기』에 나타난 개인화된 역사가 어떤 방식으로 역사적 지식을 해체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논하는 동시에, 이 과정에서 폭력이 역사를 완전히 대체하게 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Quite contrary to the general criticism of viewing Oswald’s Tale as a successful historiographic novel,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text is actually a failed attempt in narrating history. Criticizing the postmodern notion of history as unnarratable or unrepresentable, Mailer argues in Oswald’s Tale that this notion promotes historical absurdity that, in his view, undermines political commitment as well as social criticism. In spite of his initial aim to restore historical causality by turning the unrepresentable to the representable, however, Oswald’s Tale ironically ends up undermining historical knowledge that he wants to uphold. History that Mailer offers in the text is a highly privatized version, in which the power of history as a public discourse is not only reduced to but distorted as a battle between masculine hyper-individual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rivate impulse embedded in Oswald’s Tale functions to cancel out the idea of historical knowledge, resulting that violence comes to replace history completely.

I. Introduction

II. FROM HISTORY TO IMAGINATION: CONSTRUCTING A HEROIC INDIVIDUAL AT THE EXPENSE OF HISTORICITY

III. Conclusion

ENDNOTES

Works Cit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