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910.jpg
SCOPUS 학술저널

포천지역 고남산 반려암질암 내 발생하는 후기 화성활동에 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Post-magmatic Activities Occurring at the Gonamsan Gabbroic Rocks in the Pocheon Area

DOI : 10.9719/EEG.2022.55.1.77
  • 49

고남산 반려암 복합체는 경기도 포천군 관인면 일대에 분포하고, 마그마 분화과정의 결과 다양한 반려암질 화성암과 Fe–Ti oxide 광화작용으로 구성되며, 후기 화성작용 동안 반려암질 페그마타이트와 휘석–인회석–저어콘 우세 암석들은 다시 반려암질 모암을 관입하고 있다. 반려암질 페그마타이트는 다양한 규모와 형태로 반려암질 모암의 몬조섬록암과 산화물 반려암(oxide gabbro)을 관입하고, 고품위 Fe–Ti oxide 광화작용과 공간적으로 밀접하게 산출한다. 반려암질 페그마타이트는 구성광물에 따라 사장석–각섬석 우세와 휘석–감람석 우세 페그마타이트로 세분되며, 두 암상은 명확한 암상경계를 갖는다. 사장석–각섬석 페그마타이트는 휘석, 티탄철석, 스핀, 인회석, 흑운모가 부수적으로 주 구성광물의 간극을 채운다. 부분적으로 거정의 라스(lath)상 사장석(An2–26Ab72–98Or0–2) 결정 간 각진 공간을 각섬석이 충전하는 간립상 조직(intergraunlar texture)을 보인다. 휘석–감람석 페그마타이트는 암회색 내지 흑색을 띠며, 부수적으로 자철석, 티탄철석, 첨정석, 방해석, 인회석 등이 함께 산출한다. 휘석(En35–36Fs8–9Wo55)과 감람석(Fo84–85Fa15–16)은 부분적으로 세립의 자형 감람석을 거정의 휘석이 에워싸는 포이킬리틱 조직(poikilitic texture)을 보인다. Fe–Ti oxide 광물은 자철석과 티탄철석으로 구성되고, 주로 먼저 형성된 규산염 광물들의 간극을 충전한다. 그 결과로 Fe–Ti oxide 광물들은 주변 규산염광물들과의 경계부를 따라 각섬석과 흑운모로 구성된 반응연(reaction rim)이 발달한다. 자철석은 결정 내 다량의 산화용리(oxyexsolved)된 격자형(trellis type) 티탄철석과 첨정석 엽편을 포함하고, 자철석 호정원소인 Ti, Al, Mg, V 등이 농집되어 있다. 반려암질 페그마타이트와 반려암 모암 간 암상경계와 광물학적 비평형은 반려암질 페그마타이트의 형성이 마그마 분화과정 중 반려암 모암으로부터 현 위치에서 직접적으로 형성되기 보다는 Fe‐부화 멜트(혹은 용액)로부터 현 위치로 이동 후 집적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후기 화성활동의 추가 연구는 반려암질 마그마의 분화과정 뿐 아니라, 마그마 분화과정의 결과로 반려암질 암석 내에 형성된 Fe–Ti oxide 광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Gonamsan gabbroic complex in the Pocheon area, north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consists of a variety types of gabbroic rocks and associated Fe–Ti oxide deposits caused by magmatic differentiation. Post–magmatic intrusions (i.e., gabbroic pegmatite and pyroxene–apatite–zircon rocks) partly intruded into the gabbroic rocks. The gabbroic pegmatite occurs in monzodiorite and oxide gabbro of the complex, intimately and spatially associated with high-grade lenticular Fe–Ti oxide mineralization. The pegmatite can be subdivided into plagioclase–amphibole and pyroxene–olivine pegmatite, in which the contact surface is sharp. The plagioclaseamphibole pegmatite comprises plagioclase and amphibole, with lesser amount of pyroxene, ilmenite, sphene, apatite, and biotite. The pegmatite shows plagioclase–amphibole intergranular texture, in which the open space formed by large plagioclase laths (An2–26Ab72–98Or0–2) are infilled by amphibole. The pyroxene–olivine pegmatite is dark gray to black in color and also contains magnetite, ilmenite, spinel, apatite, and calcite as a minor component. The pyroxene (En35–36Fs8–9Wo55) and olivine (Fo84–85Fa15–16) partly show a poikilitic texture defined by smaller euhedral olivine enclosed by coarser clinopyroxene. Fe–Ti oxide minerals consist mainly of magnetite and ilmenite that are found interstitially to earlier formed silicates. Subsequently, they are encompassed by reaction rim (almost of amphibole and biotite) along the boundary with surrounding silicate minerals. Under the microscope, magnetite contains a lot of oxyexsolved ilmenite (trellis type) and spinel, and thereby is weakly enriched in magnetite–compatible elements such as Ti, Al, Mg, and V. The structure and textures at the contact zone as well as mineralogical disequilibrium between gabbroic pegmatite and the host gabbroic rocks suggest that the pegmatite may form as a result of accumulation from Fe-rich melt (or liquid) that occurred somewhere rather than in situ form from the host gabbroic rock during the magmatic differentiation. Consequently, the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y on the post–magmatic activities can not only help us improve our understanding on magmatic fractionation but also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on Fe–Ti oxide mineralization in gabbroic rocks resulting from the magmatic differentiation.

1. 서론

2. 지질

3. 고남산 화성관입암체와 Fe–Ti (–V) oxide 광화작용

4. 분석방법

5. 연구결과

6. 토의

7. 결론

사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