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919.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제적 관계의 우크라이나 언어와 정체성

The Problematic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Identity in Ukraine

  • 119

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을 넘어 한 민족과 국가의 정체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와 상징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런데 우크라이나는 13세기 키예프루스의 붕괴 이후부터 최근까지 타민족의 지배아래 언어와 문화, 정체성의 동화를 강요받아 오면서 우크라이나어와 정체성 보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따라서 우크라이나에서 언어와 정체성은 매우 복잡하고 문제적인 관계에 놓이게 되었고 사회-정치적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언어와 정체성의 관계가 우크라이나에서 어떻게 문제적 관계로 심화되어 왔는지 파악하고 우크라이나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유로마이단 혁명이 격화되고 러시아가 크림반도와 돈바스 문제에 개입하게 되면서 우크라이나의 언어와 정체성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고 진행되어 갔는지 점검하고 그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Language has been understood as an important element and symbol that determines the identity of a nation and state beyond a means of communication. However, since the collapse of Kyivan Rus’ in the 13th century, Ukrainian people has been forced to assimilate language, culture, and identity under the rule of other nations, and it has been difficult to preserve the Ukrainian language and identity. Therefore, language and identity have been placed in a very complex and problematic relationship in Ukraine and have been a factor causing socio-political problems. Therefore, in this paper,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identity has deepened into a problematic relationship in Ukraine and its impact on Ukrainian society a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identity in Ukraine has changed and progressed as the Euromaidan revolution intensified and Russia intervened in the Crimean Peninsula and Donbass issue, and discusses its impact on Ukraine.

1. 들어가는 말

2. 소비에트 시기의 유산: 러시아어와 소비에트 정체성

3. 독립 이후 언어와 정체성

4. 언어와 정체성의 모순적 관계 발전의 양상과 문제점

5.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