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955.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주 대통사지 추정지 발굴조사 내용과 성과

Contents and outcomes of excavation survey of daetongsaji estimated place

  • 258

大通寺는 백제사찰 가운데 창건 연대(527년)가 확인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사찰로서 관련기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정확한 위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대통사 관련 기록을 처음으로 주목한 이는 일제강점기 때 공주에서 백제유적을 조사 연구하던 가루베지온(輕部慈恩)이었다. 그는 당시 공주 일원에 남아 있는 불적 자료를 토대로 백제 가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주지역의 불교유적이 산지(山地)의 혈사(穴寺)와 명지(平地)의 당탑식(堂塔式)가람이 존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백제시대의 가람의 존재형태는 초기에는 山地의 穴寺가 중심을 이루다가 점차 平地의 堂塔式 가람으로 전개되었다고 보면서 명지의 堂塔式 가람으로 이 大通寺를 들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당간지주 주변에 대한 조사결과 당간지주가 옮겨왔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제민천이 범람했던 곳으로 확인되면서 그동안에 통념이 사라지고 대통사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된 셈이다. 그 후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시 반죽동 일대에 대해서 좀 더 면밀한 검토를 진행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생겨났고, 2011년 대통사지 탐색을 위한 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반죽동 197-4번지, 반죽동 204-1번지, 205-1 번지, 176번지 일대의 대통사 관련 유물산포지를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대통사지 추정지(3지점)은 충남 공주시 반죽동 176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조사지역은 해발 148.4m의 봉황산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사면부와 제민천 사이 평탄면에 일대에 해당한다. 발굴조사 결과 크게 개 문호층으로 구별되며, 상층부터 근.현대층 - 조선시대 문화층 - (추정)고려시대 문화층 - (추정)통일신라시대 성토대지층 - 백제시대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이중 (추정)통일신라시대 성토대지층에는 원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경사토축방식을 통해 대대적으로 대지를 조성한 흔적을 확인하였다.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구는 백제시대 수혈유구 3기, (추정)통일신대시대 석축유구 1기·점토유구 1기·적석유구 1기·전시설 1기·초석 2기, (추정)고려시대 폐와무지 3기, 석렬 2기, 적심 2기, 조선시대 담장렬 1기, 수혈유구 3기, 주공군 1기등 총 22기가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북쪽에서 확인된 남-북방향의 자갈석렬 및 집수 관련한 수혈유구는 백제시대 성토방식을 엿볼 수 있는 유구로 판단되며, (추정)통일신라시대 석축유구는 정북방향의 자갈석렬(배수시설 추정)을 중심으로 좌·우 규모 4.2m 정도의 정방형의 줄기초시설이 확인되었다. 석축유구의 성격이 대통사와 관련된 시설여부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유구의 조성 방향을 기반으로 사역과의 연결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판단된다. 고려시대 폐와무지에서 출토된 유물가운데‘大通’, ‘大 자명 인장와를 비롯하여 ‘大通之寺’,‘大通寺’자명 명문와, 귀면와, 지두문암막새, 연화문수막새 등 대통사와 관련한 유물이 대거 출토되었다. 이러한 양상으로 보아 유물은 대부분 사찰건물에 사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발굴초사지역 주변으로 관련 조사가 이루어져 대통사와 연관 지을 수 있는 여러 부분들이 확인되고 있어 지금까지 실제 규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웅진도읍기 최대 사찰인 대통사에 관한 실마리를 풀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판단된다.

1. 머리말

2. 대통사 관련 연학 및 주변조사현황

3. 조사내용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