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매체를 통해 본 한국인의 종교 이미지

Religious Image Of Koreans Seen Through The Media: Focused on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 297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매체를 통해 나타나는 종교의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청 자료와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Google 뉴스에 기록된 종교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코로나19 이후 기독교의 이미지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천주교와 불교의 이미지는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종교인에 대한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통계가 작성된 1985년과 비교하여 2015년에는 기독교와 천주교의 비율이 증가한 반면에 불교의 비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종교인의 비율이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ython을 이용하여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한 결과, 전체 종교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종교의 인식, 부정적, 극우, 정치적, 문제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 것으로 나타나 윤리실천, 사회적 약자 보호라는 쇄신안을 통해 종교이 인식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매체를 통해 나타나는 종교의 이미지는 코로나 상황으로 부정적인 이미지가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현 시점에서 각 종교계는 종교인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미지 쇄신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의 의의는 코로나 시국에 매체에 나타나는 종교 이미지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 사회에서 종교의 올바른 역할 및 가치 부여라는 목표아래 지혜를 모으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In order to analyze the image of religion seen through the media,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articles related to religions recorded in Google News from January 2020 to December 2021.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various questionnaire researches showed that the image of Christianity after Corona 19 was negative, whereas the image of Catholicism and Buddhism was positive. Second, an investigation into the statistical data on religious people showed that compared to 1985, when the statistics were compiled, the ratio of Christianity and Catholicism increased in 2015, while the ratio of Buddhism decreased. Also,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non-religious people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Third, as a result of visualizing it as a word cloud using Python, it was found that such words as perception of religion, negative, far-right, political, and problem appeared frequently when analyzing all religions. Through the reform plan of ethical practice and protec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it can be seen that religion requires a change in perception. The results so far combined showed that the image of religion that appeared through the media can be seen as an enlarged negative image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t this point, it seems that each religious community needs to take active measures to prevent the departure of religious people and renew their im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inten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gather wisdom under the goal of assigning the right role and value of religion in our society in the futu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ligious image appearing in the media in the COVID-19 situation.

Ⅰ. 서론

Ⅱ. 종교의 의미와 종교인 현황

Ⅲ. 매체 속 종교이미지 분석

Ⅳ.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