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난 4년간 실시된 전문대 기초교양교육컨설팅의 성과과 한계를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8년부터 시작된 전문대 기초교양교육컨설팅은 전문대학에 교양교육이라는 화두를 던지게 되었다. 그리고 2021년에 실시되는 전문대학 기본역량 진단에서 교양교육이 평가항목에 포함되면서 전문대학은 교양교육을 피상적인 대상이 아닌 실체적인 당면 과제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2018년에 시작하여 2021년까지 진행된 전문대 기초교양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은 전체 133개 전문대학 가운데 41개 대학이 참여하여 30.8%의 참여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018년 11개, 2019년 14개, 2020년 14개, 2021년 7개 대학이 참여하였다. 현재까지 진행된 컨설팅에 대한 전문대학의 만족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며, 대학은 실제적으로 컨설팅을 통하여 스스로의 교양교육 현황을 살펴볼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를 통해 개선해야할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하는 성과를 만들어 낼 수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전문대 기초교양컨설팅의 발전을 위해 첫째, 대학의 참여 확대 둘째, 사전진단보 고서의 품질 향상 셋째, 이행동의서의 실천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basic general education consulting for junior colleges over the past 4 year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he basic consulting for general education at junior colleges, which started in 2018, brought up the conversation topic regarding general education at junior colleges. Also, as general education was included as one of the the basic competency diagnostic evaluation items of junior colleges to be implemented in 2021, junior colleges began to accept general education as a practical task rather than as a superficial object. From 2018 to 2021, 41 junior colleges out of a total of 133 junior colleges participated in the basic general education consulting program, and the participation rate was 30.8%. 11 junior colleges particpated in 2018, 14 in 2019, 14 in 2020, and 7 in 2021. The junior colleges satisfaction with the consulting conducted to date has been quite high, as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actually check and improve the status of basic general education through the consulting program. In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general education consulting for junior colleges in the future, three things are proposed: First,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among junior colleges, seco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pre-diagnosis report, and thir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ent form.
1. 서론 및 선행연구
2. 전문대학 교양교육 현황
3. 기초교양컨설팅 운영현황
4. 컨설팅 사례분석
5.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