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027.jpg
KCI등재 학술저널

天安 求道里 倭系 百濟古墳의 性格

The Characteristic of Gudo-ri Baekje Tomb with Attribute of Ancient Wa(倭) Tombs in Cheonan-city

  • 43

소위 倭系古墳은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서남부지역 일대에 주로 축조되었다고 보아 왔는데, 이러한 학계의 통념과 달리 2017년도에 天安 求道里에서 倭와 관련시켜 볼 수 있는 속성을갖고 있는 무덤 1기가 조사되어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구도리고분의 특징은 먼저 입지상에서 가지능선 끝부분의 정상부에 고분 1기만 조영된 單獨墳 이라는 점으로서, 인근의 천안 용원리 9호 석곽묘와 비교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분구와 주체부의조성 방식으로서, 매장주체부의 개석이 성토 분구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地上化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분구묘적인 축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세 번째는 양쪽 단벽 자리를 깊게 굴광하고 대형 판석을 세운 반면에 장벽은 할석을 눕혀 축조한 매장주체부 구조로서, 내부에는 통나무관을 안치하였거나 혹은 목관을 사용하지 않은 석관의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어느 쪽이든 이 시기 중서부지역에 서는 보기 어려운 묘제 형식이어서 이는 구도리고분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네 번째로분구 중에 매장의례와 관련되어 유물이 매납되는 양상으로서, 백제 한성기 고분은 서산 부장리와같은 일부 분구묘를 제외하고는 봉토 자체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봉토 매납 의식의존재 여부를 그려보기 쉽지 않다. 한편 출토유물의 경우 흑색마연토기는 제작기술로 볼 때 백제중앙과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고, 三角板革綴板甲은 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과연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 가운데 어떤 것이 구도리고분 피장자가 생전에 갖고 있던 社會的 人性과 그 출신 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일까? 필자는 이들 가운데 입지와 매장주체부 구조의두 가지 점에 좀 더 주목하고 싶다. 일단 강력한 백제 지방 세력들이 자리잡고 있는 틈새에 단독으로 축조된 구도리고분의 피장자는 현지에서 累代로 형성된 세력이라기 보다는 외부 세력으로서, 백제 중앙의 영향력이 작동하여이 지역에 이식된 인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흑색마연토기로 보아 백제 중앙의관료가 파견되었던 것일까? 그런데 일반적인 백제고분군들과 달리 단독분으로서 존재하는 점과구도리고분의 매장주체부와 유사한 箱式石棺이 왜 지역에서 보다 유행하였던 양상 등을 감안하면, 이 고분의 피장자가 왜인 또는 왜와 밀접하게 관련된 인물일 가능성이 보다 높아 보이는 것을부인하기 어렵다. 한편 이러한 매장주체부가 서남부지역에서도 역시 보이고 있음을 감안하면, 혹이 지역에서 왜와 관련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인물이 백제 內地로 이식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다. 향후에도 백제 한성기 중앙과 가까운 지역에서 구도리고분과 같이 이질적인 요소를 보여주는고분들이 발견될 가능성은 충분하며, 다양한 시각에서의 해석이 요구된다 하겠다.

thas been thought that the so-called Wa(倭)-related tombs was built mainly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Yeongsan River basin. The characteristic of Gudo-ri tomb is that it is a single tomb at the top of Ridge,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nearby Yongwon-ri No.9 Tomb in Cheonan. The second is the formation method of the mound and burial facility, and the cover of burial facility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ound. The third is the structure of burial facility built the large flagstones were erected by digging deeply at both end walls, and the possibility of a sarcophagus with a log coffin or a wooden coffin was raised. Either way, this is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Gudo-ri tomb, as it is a burial type that is difficult to see in the midwest region in Korea. Fourth, as relics are buried in relation to burial rituals during the bunguing, the Baekje Hanseonggi tombs are often unconfirmed except for some bungu tombs such as Bujang-ri in Seosan. It is not easy to se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cavated artifacts, the black pottery can be directly related to the center of Baekje in term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triangular plate leather plate was manufactured in Wae is raised. Which of these various factors well reflects the social personality and origin of the victims of Gudo-rigobun? Among these, I would like to pay more attention to two points: the loc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store owner. First of all, the inhabitants of the Gudori-gobun, built alone in the crevices of the powerful Baekje local powers, are more likely to be people who were transplanted to this area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center of Baekje, as an external force rather than a force formed by generations locally. do. If so, was it that a bureaucrat in the center of Baekje was dispatched, considering it was black pottery? Rather, considering why the common sense sarcophagus similar to the burial department of Gudori-gobun was more prevalent in the region, it is possible that the inhabitants of Gudori tombs were also closely related to why. However, considering that such a burial body is also visible in the southwestern region, I think that it is impossible to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a person who could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why in this region was transplanted to the Paekje region. In the futur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ombs showing heterogeneous elements in the area close to the center of the Hanseong period in Baekje will be discovered in the future, and interpret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s required.

Ⅰ. 머리말

Ⅱ. 天安 求道里古墳의 立地와 築造樣相

Ⅲ. 求道里古墳과 初期 倭系古墳의 性格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