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027.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동기시대 석도 제작의 전문화 가능성 검토

Studying Specialization of Crafting Stone Knives in Bronze Age

  • 43

청동기시대는 전문화의 시기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남한지역에서 출토되는 석도의 전문화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각 유적마다 구성원들이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석도를 제작하였다면 넓은 지역에 걸쳐 다양한 형식의 석도가 출토될 것이다. 반대로 특정 형식의 석도만이 다량으로 출토되는 유적이 있다는 사실은 석도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장인이나 집단이 있었음을 암시한다. 남한지역 유적에서 출토된 2,207점의 석도 중에서 형식분류가 가능한 1,302점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유적에서 다양한 형식의 석도가 공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형식의 공존 현상은 석도 제작에 전문적인 장인이 개입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말해준다. 동해안에 위치한 일부 유적들(속초⋅양양, 포항, 울산 유적군)에서 동일한 형식의 석도가 다량으로 발견되어 전문화의 증거로 볼 수 있는 현상이 감지되지만 이 지역 유적들에서 전문화가 지속적으로 심화되지는 않는다. 본고의 분석결과는 청동기시대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수확구인 석도가 위세품(청동기, 옥기 등)과는 달리 전문적인 장인 집단에 의해 생산되지 않았음을보여준다

The Bronze Age is known as the Age of Specialization. In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pecialization of Crafting Stone knives in Bronze age in South Korea. There were various Stone knives widespread, if people in the sites made Stone knives as occasion demands. On the other hand, some craftsmen made the Stone k nives, type of Stone k nives were limited. Analyzing 1,302 types of stone knives that can be classified among the 2,207 stone knives excavated from the sites of South Korea, it was found that various stone knives coexist in most of the sites. Coexistence of various Stone knives, it means craftsmen did not intervene in the production of Stone knives. Some sites had found the same type Stone knives, it is evidence of specialization. However, Specialization was not advanced. As a result, Bronze dagger and jade was specialized, while Stone knives in Bronze age were not produced by a group of professional craftsmen.

I. 머리말

II. 선행연구 검토: 청동기시대의 전문화

III. 석도 출토 유적 분포와 형식분류

IV. 분석: 단위별 석도 형식의 다양성 검토

VI.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