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982.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반논문] 동인제 영화제작과 영화 <표류도>

Film Making in Donginje method and Film ‘Drifting Island’

  • 6

이 글은 동인제 방식으로 제작된 박경리 원작 <표류도>의 영화제작 과정과 영화 속 주인공 현희 역을 맡은 문정숙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1959년 연간 한국영화 제작편수가 100편을 넘기면서 많은 수의 영화를 제작하던 군소 영화회사들이 흥행부진으로 정리되어 갔다. 이를 대신하여 동인제 영화제작 방식이 도입된다. 1960년 이광수 원작의 <흙>을 제작하여 큰 성과를 냈던 제작진들은 동인제 방식으로 영화를 제작하기로 했고 박경리 원작 <표류도>를 영화로 만들기로 결정한다. <표류도>의 제작은 문정숙의 스타덤에 기댄 측면이 크다. 문정숙의 남편인 기획자 장일은 문정숙의 이미지에 어울리는 원작을 선택하였으며 이렇게 선택된 <표류도>는 문정숙이 연기한 현희를 중심으로 주변 인물들이 현희와 관계 맺는 상황을 통해서 현희의 성격과 현희의 가치관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은 1960년 무렵 추진되었던 여배우를 중심으로 한 동인제 방식의 영화제작을 보여준다는 면에서 흥미로운 텍스트이다.

This article casts light on the filmmaking process of Park Kyung-ri’s novel ‘Drifting Island’, which was produced in Donginje method, and Moon Jeong-sook, who plays the lead character Hyun-hee in the fi lm. Th e number of Korean domestic fi lms produced annually exceeded 100 in 1959 and small fi lmmakers that used to produce a large number of fi lms were restructured and downsized due to failure to attract the viewers.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the Donginje fi lmmaking method was introduced. Th e production team who made a great success by turning Lee Kwang-soo’s novel “Soil” into a fi lm in 1960 decided to produce a fi lm adapted from Park Kyung-ri’s novel ‘Drifting Island’ in the same manner. Th e production of ‘Drifting Island’ was dependent heavily on actress Moon Jeong-sook’s stardom. Jang Il, Moon’s husband and the planner, chose ‘Drifting Island’ as a novel that best suits the personal image of Moon Jeong-sook. Th e fi lm reveals the characters and sense of value of Hyun -hee played by Moon Jeong-sook through the circumstance where the surrounding people relate to Hyun-hee. Th is fi lm is an interesting attempt in that it demonstrates the fi lmmaking process in Donginje method popular around 1960 centered on a particular actress.

1. 서론

2. 1950년대 동인제 영화회사의 등장

3. 박경리 원작 「표류도」의 영화화

4. 배우들의 경연장이 되어 버린 <표류도>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