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 Relational and Job Resources’ Effect on In-Role Job Performance through Thriving at Work: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load
개인적, 관계적, 직무자원과 직무성과 간 관계: 번영감의 매개역할과 직무과부하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최근 개인의 번영감은 개인과 조직 성과 향상에 기여한다는 심리적 현상으로 학문적 연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핵심자기평가(개인적 자원), 작업장 시민화(관계적 자원), 관리자 코칭(직무 자원)이 번영감을 매개로 직무성과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직무요구-자원 이론의 논의를 확장하여 도전적 직무요구인 직무과부하가 개인적, 관계적, 직무 자원과 번영감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할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네팔 은행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였으며, 311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핵심자기평가, 작업장 시민화, 관리자 코칭 모두 번영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번영감은 핵심자기평가와 작업장 시민화와 직무성과 간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관리자 코칭과 직무성과 간 관계를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과부하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부(-)의 방향성을 가짐에 따라 모두 기각되었다. 즉, 기존 직무-요구자원이론에서 제시한 직무요구로작동하고 있었다. 결론부에 연구 요약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riving at work as a psychological phenomena enhance positiv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 and become interesting topic for rese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ore-self evaluation, workplace civility and managerial coaching positively influence employees’ in-role job performance through thriving at work. Further, it explores the moderation effects of workload on thriving at work in a line with JD-R theory. By using a survey technique, we utilized 311 data collected from private bankers of Nepal. The findings from our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e self evaluation, workplace civility and managerial coaching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riving at work. second, thriving at work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re-self evaluation and workplace civility and in-role job performance, and partially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coaching and in-role job performance. Lastly, contrary to other expectation, the workload is revealed as a hinderance job demand in the context of Nepalese Banking industry. The moderation effects of workload were significant but negative. In conclus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Hypothesis
Ⅲ. Methodology
Ⅳ. Analysis
Ⅴ.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