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팬데믹 시대 초등 교사의 비대면 수업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pandemic era: Focusing on the use of Korean textbooks

  • 115
162098.jpg

본 연구는 비대면 국어 수업과 국어 교과서를 활용함에 있어 교사들의 인식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초등과정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이 대면 수업보다 준비해야 할 것이 많고, 수업 과정이 더 어렵다고 인식하였으며, 비대면 수업의 가장 큰 장애물은 원활하지 못한 상호소통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모둠 활동도 지도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들은 비대면 수업보다 대면 수업을 선호하였다. 둘째, 비대면 수업에서 국어교육은 교과서 내용을 학생들에게 화면으로 제공하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대면 수업과 달리 국어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단원 순서에 따라 수업을 하였는데, 말하기와 읽기는 교과서 내용 그대로 교사가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쓰기는 게시판이나 패들렛이라는 플랫폼을 통하여 과제를 제시하면 학생들이 글쓰기를 사진으로 올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비대면 수업 시 서책 국어 교과서를 그대로 사용하는데, 이는 비대면 수업의 특징을 살리지 못하는 한계점으로 인식하였다.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o find out how teachers perceive non-face-to-face Korean language classes and the use of Korean textbooks. Results First, teachers perceived that non-face-to-face classes had more to prepare than face-to-face classes and the class process was more difficult, and the biggest obstacle of non-face-to-face classes was poor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 teachers responded that it was not easy to know the students reactions to the class and it was not easy to guide the students group activities, and the teachers preferred face-to-face classes over non-face-to-face classes.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was conducted in a way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s were provided to students on screen and explained. Unlike the face-to-face class, the class was taught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units presented in the Korean textbook. In the case of speaking and reading, the teacher unilaterally proceeds with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nd in writing, when the task is presented through a bulletin board or a platform called a padlet, students write This was done by uploading a photo. Third, Seochae Korean textbooks are used as they are in non-face-to-face classes, which was recognized a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utilize the features of non-face-to-face class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