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90.jpg
KCI등재 학술저널

진로성숙, 자아개념, 자기조절 변화에 대한 진로교육의 동시 및 지연효과 검증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Career Interventions on the Longitudinal Changes of Adolescent Career Maturity and Self-Processes

  • 19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2013 한국교육종단조사의 3~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성숙, 자아개념, 자기조절의 종단적 변화를 추정하고, 이 변인들에 대한 진로교육 경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과 자기조절 수준은 고등학교 시기까지 학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자아개념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매년 경험하는 진로교육은 동일한 해에 측정된 진로성숙, 자아개념, 자기조절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진로교육경험은 다음 해에 측정된 진로성숙과 자아개념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에 대해서도 부분적으로 유의한 지연효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진로성숙도 증진뿐만 아니라 진로목표 실현에 필요한 동기를 함양하기 위하여 중학교 시기부터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교육 경험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s of career interventions on student perceptions of career maturity, self-concept, and self-regulation. Five waves (Grades 7∼ 11; N = 6826) of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LGM). While career maturity and self-regulation perceived by students increased over time, their perceptions of self-concept significantly decreased.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immediate effects of career interventions on career maturity, self-concept, and self-regulation measured each year. All delayed effects on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early and the frequent provision of career interventions in the developmnet of students’ career and self-processe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