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90.jpg
KCI등재 학술저널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 분석

A Qualitativ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PRIME Project

  • 16

본 연구는 PRIME 사업에 선정된 21개 대학의 정성적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PRIME 사업성과 확산과 성과 평가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RIME 사업 관련 학과개편·정원조정, 교육과정 혁신 및 진로교육 내실화, 대학의 지원 체계 등 세 개 조사 영역으로 구성되는 학교 조사지를 구안하여 PRIME 사업 참여 21개 대학으로부터 자기보고식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Strauss와 Corbin(2008)의 반복적인 비교 분석법을 준용하고 코딩 및 분석 절차를 진행하여 주제어와 주제어 빈도수를 중심으로 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학과개편·정원조정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산업 수요에 대비한 학과 개편과 공학입학 정원 증가/이동의 정성적 성과를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교육과정 혁신 및 진로교육 내실화 측면에서는 산업연계 교육과정 개편과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취·창업 지원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과 교과목 운영, 지역학 프로그램 운영 등의 정성적 성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산업체 경력 우수교원 확보, 관학협력 및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의 정성적 성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① PRIME 사업을 통해 정성적 성과가 확인된 일부 대학의 정책 및 제도의 지속가능한 착근 노력과 타대학 확산 유도 필요, ② PRIME 참여 대학-지자체-지역산업체 간 상생 모델의 지역 대학으로의 확산 필요, ③ 공학 분야 인재의 성비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여성친화적 공학교육 혁신 사례의 확산 및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 지원과 대학 차원의 제도 및 문화 개선 노력 필요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PRIME project and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of the future PRIME project and government financial aid program. To this end, this study organized a university survey consisting of three survey areas and collected self-report qualitative data from 21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IME project.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by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of Struass and Corbin (2008).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department reorganiz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 the departments of engineering; second, qualitative performance such as reorganizing industry-linked curriculum and operating extra-curricular were shown; and lastly, qualitative performance such as securing excellent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and establishing networks with local government and industries were confirmed.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spread the success cases of the PRIME project and the win-win model between universities, local governments, and local industries. In addition, we emphasized the need to spread the case of innovation in female-friendly education to solve the gender imbalance problem.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