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91.jpg
KCI등재 학술저널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교육학적 수용

Posthumansim Research in Education -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 58

본고는 2000년대 들어 국내 인문사회과학계의 중심화두가 되어 온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이 한국의 교육학계에 수용되고 있는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학 또는 교육학 연구가 어떻게 전개되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전망과 제언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교육학계 내 학술대회, 전문학술저서 등의 지표에 근거하여 파악한 연구의 현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부터 시작된 포스트휴머니즘의 교육학적 수용은 여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으나, 2018년을 기점으로 대단히 적극적인 양상으로 전환을 이루었다. 둘째, 특히 예술교육과 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검토와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전자는 “시론적 수용과 교과교육적 적용”으로 그리고 후자는 “담론분석을 통한 교육학적 수용의 가능성과 한계의 검토 및 교과교육적 적용의 탐색”으로 그 수용의 양상을 정리할 수 있다. 셋째, 교육학 분야의 수용은 다시 포스트휴머니즘의 두 갈래(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휴먼-이즘)에 따라 “관계성의 존중과 공존・공생의 교육학” 그리고 “인간향상론의 비판적 검토와 휴머니즘의 보수(保守)”로 각각 요약될 수 있다. 넷째, 향후의 발전적 전개를 위하여 포스트-휴머니즘 계열의 수용은 포스트-휴머니즘이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 지목한 왜곡된 휴머니즘에 대한 보완적 이해 및 공존・공생의 교육학의 이론적 기반의 보완이 필요하며, 포스트휴먼-이즘 계열의 수용은 생명보수주의와의 연대를 통해 교육적 휴머니즘을 현대적 맥락에 맞추어 정제(精製)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and repor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nal research, and based on it, proposing perspectives for contemporary education. Current status of research according to KCI(Korean Citation Index) and conferences in the field of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research on posthumanism, which began in 2013 in Korean educaiton, has shown a slow start comparing to other disciplines of human science and socical science, but it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2018 after the so called discour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lpha-Go Event in 2016. Second, it has been performed mainly in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 (art education) and education in general. The former can be characterized as introductory study and application in subject education, while the latter focuses on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through discourse analysis. Third, the latter, namely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general,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streams according to the two types of posthumanism itself (post-humanism and posthuman-ism). The former demands to pay radical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kinds of being in the ecosystem and a broad concept of education of coexistence and symbios. The latter suggests a critical review of human enhancement theory by posthuman-ism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humansim. Fourth, for a further research, it is needed to have a supplementary understanding on humanism in a broad sense in its historical context, not just the distored humanism in the sense of human-exceptionalism, and to have more balanced and detailed supplementation in theoretical backgroud on the side of reception of post-humanism, while solidary cooperation with bioconservatives is needed in light of refinement of humanism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education for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Ⅰ. 서론 -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관심의 증가

Ⅱ. 포스트휴머니즘의 교육학적 수용의 현황

Ⅲ. 포스트휴머니즘의 교육학적 수용의 특징

Ⅳ. 포스트휴머니즘의 교육학적 수용 - 전망과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