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92.jpg
KCI등재 학술저널

Q방법론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원격 교원연수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Types of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Q-Methodological Study

DOI : 10.24299/kier.2021.343.97
  • 245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원격 교원연수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이나 신념 등을 연구하는 데 적합한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최근 1년 이내 원격 교원연수를 이수한 적이 있는 서울・경기 초등학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문헌분석과 인터뷰자료에서 추출한 40개의 진술문을 Q방법론에 근거하여 분류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원격 교원연수에 대한 인식유형이 3개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적극적 개선을 요구하는 새로운 원격연수 추구형으로, 원격 교원연수를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을 바탕으로 연수의 부족한 부분은 개선이 되고, 원격 교원연수가 새롭게 발전하기를 바라는 유형이었다. 두 번째 유형은 현행에 만족하는 기존 원격연수 선호형으로, 콘텐츠 중심의 현재 원격연수에서도 다양한 정보와 자료, 필요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현행 원격연수를 통해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이었다. 세 번째 유형은 연수의 효과성을 중요시하는 원격연수의 한계 인식형으로, 교원연수에서 교사의 전문성 함양 등 연수의 효과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원격연수의 효과성은 대면 연수의 효과성을 대체할 수 없다고 인식하는 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perception typ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researcher applied Q methodology, which is a suitable for studying individual subjective perceptions and belief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 data, a total of 40 statements were extracted as Q samples, and the Q sort data was collected on 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had taken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within the past yea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three typ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First type had a positive perception on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hoped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he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based on active institutional support. Second type was satisfied enough with the present content based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y thought even through the content based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effective learning is possible. Third type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as the most important and perceived that the distance in-service teacher training can not replace the face-to-face training.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