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92.jpg
KCI등재 학술저널

발달장애인 자녀의 성인기 전환과정에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Stress Scal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ransition to Adulthood

DOI : 10.24299/kier.2021.343.29
  • 359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가 자녀의 성인기 전환과정에서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성인기 전환 과정에 있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문헌연구와 부모들의 경험적 접근을 통해 문항을 제작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16문항을 본 척도의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으며 신체화 증상(6문항), 진로준비 부담(4문항), 성인기적응 스트레스(4문항), 경제적 부담(2문항)의 4개 하위요인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개발된 발달장애 부모의 성인기 전환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하기 위해 부모효능감 척도, 우울(CES-D)척도, 부모소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by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ransition to adulthood and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questions were produc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parents empirical approaches. Researchers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As the analysis shows, the final result of the 16 questions divided into four sub-factors can be confirmed as follows: somatization symptoms (6 questions), the burden of career preparation (4 questions), adult adaptation to stress (4 questions), and economic burden (2 questions). Subsequentl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related to the developed parenting stress scale for transition to adulthoo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parental efficacy scale, depression (CES-D) scale, and parental burnout scale, resulting in relatively high correla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