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J시 00 복지관을 이용하는 6명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로고테라피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코로나 19로 인한 우울감과 자아통합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로고테라피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주 1회 120분씩 총 20회기(사전·사후검사 포함)를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감과 자아통합감 검사를 Wilcoxon 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투사 검사인 질적 분석과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의미 변화 내용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로고테라피를 집단 미술치료에 적용하여 코로나 19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 노인에게 적극적인 삶의 의미 변화가 자아통합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한 사례연구로써 의미가 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applied with logo therapy on the feelings of depression and self-integration caused by Corona 19 for 6 elderly women using the J city 00 welfare center. Group art therapy applied with logo therap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0 sessions (including pre- and post-test) for 120 minutes once a week,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pression and selfintegration test through Wilcoxon s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spectively, and positive changes were also shown in the qualitative analysis, which is a projection test, and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life in the program pro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case study confirming that positive change in the meaning of life can affect self-integra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ho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COVID-19 by applying logo therapy to group art therapy. It is sugges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post-corona era.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